[대선 D-27] TV토론 정치분야…정치개혁 큰 시각차 노출 文 “기능 회복” 安 “대수술”
입력 2012-11-23 02:43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는 21일 밤 맞짱 토론에서 정치 개혁에 대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문 후보는 “정치가 제 기능을 발휘하도록 바로잡아야 한다”며 정치의 기능 정상화를 주장한 반면 안 후보는 “무너진 국민적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며 국회의원 축소 등 대대적인 개혁을 요구했다. 단일화 협상 파행의 책임을 둘러싼 공방도 펼쳤다.
◇국회의원 정수 조정이냐 축소냐=문 후보는 정치분야 주도권 토론에서 “안 후보가 새 정치 바람을 많이 이야기해서 민주당도 변화시킨 공로가 있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문 후보는 “(안 후보의) 의원 정수를 줄이고, 중앙당을 폐지 혹은 축소하며, 정당 국고 보조금을 삭감하자는 주장은 정치의 축소나 위축을 불러온다”며 “의원 정수 축소에 대한 생각이 달라지지는 않았느냐”고 공세를 펼쳤다. 이에 안 후보는 “정치가 권한을 더 많이 갖는다고 더 많이 일하는 것이 아니다”며 “정치의 힘은 국민적 신뢰 회복에서 나온다”고 반박했다.
양측은 지난 18일 공동발표한 ‘새 정치 공동선언’에서 국회의원 정수를 조정하기로 한 대목을 둘러싼 해석차도 드러냈다. 문 후보는 “정수조정은 지역구 줄이고 비례대표 늘리자는 뜻이었다. 잘못 보고 받은 것 아니냐”고 거듭 지적했고 안 후보는 “맥락상 조정은 늘리거나 줄인다 둘 중의 하나인데, 늘리자고 했으면 국민적 동의를 못 받았을 것”이라며 축소를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문 후보는 이해찬 전 대표의 퇴진과 관련해 “(안 후보 측에서) 인적쇄신을 요구해 고심 끝에 퇴진했는데 나중에 그런 적 없다고 한다”고 따지기도 했다. 안 후보는 “새 정치 공동선언 실무자 간에 이야기한 적이 있을 수 있으나 제가 이야기한 적은 없다. 오해가 없으면 좋겠다”고 해명했다.
◇단일화 협상 파행 책임 공방=문 후보는 “실무 협상팀이 19일 처음 만났는데 안 후보 측이 처음 주장에서 조금도 달라지 않고 있다”며 “안 후보 협상팀에 재량이 없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안 후보는 “처음 제안에서 물러나지 않았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며 “우리는 (수정안을) 제안했고, 문 후보 측이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해서 협상이 진전이 없다”고 역공했다.
안 후보는 또 “민주당은 두 분 대통령을 배출한 유서 깊은 정당이고, 이를 존중한다”며 “그렇지만 야권 단일화가 두 사람 중 누가 야당의 수장으로 적합한지를 뽑는 것이 아니라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싸워 이길 수 있는 대표선수 뽑는 것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문 후보는 “누가 박 후보를 이길 수 있는 후보인지 판단해야 하는 것이 단일화 과정”이라며 “그 기준은 정권교체를 바라는 국민으로부터 누가 더 많은 지지를 받는 가에 역점이 두어져야 한다”고 반박했다.
◇대통령의 리더십=안 후보는 대통령의 리더십과 관련해 “요즘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부하들로부터 보고받아서 혼자 결정하는 수직적 리더십이 아니라 수평적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각 분야 전문가 의견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그런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후보는 “그동안 정치가 국민 삶과 동떨어졌다”며 “정치가 활발해져서 국민과 소통하면서 제대로 대변하고 삼권이 제대로 분립되는 민주주의를 확립하는 것, 복지국가를 만드는 것이 새 시대의 리더십”이라고 강조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