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시립병원 6곳에 한의과 신설 추진
입력 2012-11-21 09:33
서울시의회가 서울시립병원 6곳에 27억원을 들여 한의과를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양의학계와 물리치료학계는 한의학 무용론을 주장하고 있어 한의과 개설을 둘러싸고 양·한방 간 갈등이 재점화될 것으로 보인다.
시의회는 21일 한의과 신설을 담은 ‘서울특별시립병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입법예고했다. 조례안은 23일까지의 공고 기간을 거쳐 다음달 11일 본회의에서 통과될 전망이다.
시는 조례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조례안은 시내 시립병원 13곳 중 정신과나 치과 전문병원을 제외한 6곳에 한의과를 개설하고 양·한방 협진체계를 구축해 한방 진료 과목을 신설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시립병원 중 한의과가 있는 곳은 북부병원뿐이다. 북부병원의 한의과 진료건수는 한의과를 설치한 5월 484건이었고 6월 694건, 7월 718건 등으로 꾸준히 증가 추세다.
한의학계는 시립병원 및 보건소의 한방전문인력 활용을 계속 주장해 왔다. 시의회는 2009년에도 한의과 설립을 추진했지만 시 보건복지위원회가 보류하면서 무산됐다. 그러나 지난 7월 열린 ‘건강서울 36.5 청책워크숍’에서 시립 한방병원을 만들어 달라는 서울시한의사회의 요구에 박원순 시장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한의과 설립에 속도가 붙었다.
그러나 양의학계가 한방 진료의 신뢰성에 꾸준히 의문을 제기하고 있어 조례안 통과 과정에서 반발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양·한의학계는 한방 재료로 만든 천연물 신약(新藥) 처방권을 놓고서도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앞서 두 의학계는 만성질환관리제, 한의학전문대학원을 등을 두고서도 여러 차례 갈등을 빚었다.
조례안을 대표 발의한 전철수 민주통합당 의원은 “인구 고령화로 만성 퇴행성 질환 환자도 늘어났고, 여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한방 의료 서비스에 대한 시민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시민들의 다양한 공공의료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 관계자는 “시의회에서 조례안이 통과되면 한의과 신설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라며 “예산문제 등이 있어 실제 신설은 언제쯤 하게 될지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