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사용후핵연료 저장 부지 선정 착수… 임시저장시설 2016년 포화

입력 2012-11-20 18:53

정부가 이르면 2015년 사용후핵연료의 중간저장 부지를 선정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정부는 20일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제2차 원자력진흥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사용후핵연료 관리대책 추진 계획’을 의결했다.

정부는 현재 원전에 임시저장된 사용후핵연료 처리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내년 4월 인문·사회·공학 등 학계, 시민·환경단체, 원전지역 대표 등으로 구성된 민간 자문기구인 ‘공론화위원회’를 출범시키기로 했다. 현재 설치한 임시저장 시설들이 2016년부터 포화상태에 이르기 때문이다.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는 그동안 고리, 영광, 울진, 월성 등 4개 원전 본부에 임시저장해 왔는데 현재 수용능력의 70%가량이 채워진 상태다.

정부는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시설이라도 우선 마련해야 하는 필요성에 따라 2005년 1월 경주를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 부지로 최종 확정한 뒤 고준위 방폐물(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고 설치를 추진해 왔다.

공론화위원회는 2014년까지 토론회, 설명회, 공청회를 지속적으로 열어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뒤 중간저장 시설이 들어설 부지 선정 절차와 기준을 마련한다.

정부는 위원회의 결정을 권고사항 형식으로 반영해 부지 선정 절차와 투자방안이 포함된 ‘방사성폐기물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이후 대국민 의견수렴을 거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2015년 부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해 사용후핵연료를 중간저장하는 부지의 선정 작업에 들어간다.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는 원자력발전 연료로 쓰인 뒤 원자로에서 인출된다.

핵연료는 약 5년간 사용되며 사용 전후 외형상의 차이는 없지만 사용후 강한 방사선과 높은 열을 방출한다. 고준위 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는 임시저장, 중간저장, 최종처분(영구 저장) 단계를 거쳐 처리된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