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28] 초읽기 몰리자 피말리는 수싸움… 결국 담판 가능성
입력 2012-11-21 00:59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 측과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 측은 20일 단일화 룰을 놓고 유·불리를 따져 가며 한 치도 양보하지 않았다. 전날 안 후보 측에서 ‘여론조사+α’ 방식 중 α의 내용을 공론조사로 제안하면서 대립한 데 이어 여론조사 방식을 정하는 과정에서도 부딪쳤다. 이날 14시간30분간의 협상에서도 최종 타결을 하지 못함에 따라 21일 밤 TV토론을 한 뒤 후보끼리 만나 협상 룰을 담판 지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예상대로 문 후보 측은 적합도 조사를, 안 후보 측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의 가상대결 조사를 제시했다. 여론조사 문항뿐 아니라 시기, 대상 등 세부 사항에서도 팽팽한 줄다리기를 계속했다. 진전이 없자 문 후보 측에서 ‘경쟁력을 묻는’ 수정안을 내놓기도 했으나 안 후보 측이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후보 측은 공론조사 방안에 대해선 아예 꺼내지 않았다. 전날 안 후보 측은 1만4000명씩 배심원단(민주당 중앙대의원, 안 후보 후원자와 펀드 참여자)을 구성한 뒤 TV토론 이후 이들 중 3000명씩을 상대로 전화 설문조사를 하자고 주장했다. 이에 문 후보 측은 공론조사 모집단 선정 방식의 불공정성을 들어 무작위 추출을 통한 이른바 ‘아웃바운드’ 방식을 역제안했다.
이에 사실상 TV토론 전 단일화 방식 합의는 물 건너갔다는 해석이 나온다. 안 후보 측 관계자는 “결국 목요일(22일)까지 협상을 이어가겠지만 평행선을 달리다 후보 간 담판을 통해 여론조사 방식을 정할 수 있다”며 “주말 사이 치러질 여론조사 결과와 과거 자료 등을 합산해 비공개로 막판 후보를 결정하는 담판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문 후보 캠프 관계자도 “타결되지 않은 쟁점은 후보 간 담판으로 하자고 안 후보 쪽에서 제안할 것 같다”고 했다. 지지율이 하락한 안 후보 측이 여론조사를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이어서 여러 자료를 토대로 문 후보를 직접 설득하려 한다는 것이다.
문·안 후보의 2차 회동 후에도 단일화 협의가 난항을 겪자 후보 등록일인 25∼26일까지 협의가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안 후보 캠프 관계자는 “여론조사만으로 방식을 정하더라도 오차범위 내에서 지지율 차이가 난다면 또 다른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며 “안 후보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한 말 속에도 약속한 시일을 넘길 수 있다는 뜻이 담겼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