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새만금 범도민위원회’ 과도한 지원 논란
입력 2012-11-19 19:02
사회단체인 ㈔새만금사업 범도민지원위원회에 대한 전북도의 과도한 물적·인적 지원이 도마 위에 올랐다. 범도민위원회의 사업비 집행에도 문제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북도의회 환경복지위원회 이현주(통합진보당) 의원은 19일 전북도가 범도민위원회에 해마다 수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도 공무원도 3∼4명씩 파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최근 행정사무감사에서 전북도가 유독 범도민위원회에 운영비와 인력까지 지원하고, 위원회의 무분별한 사업비 집행을 방관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올해 범도민위원회에 4·5·6급 공무원 1명씩, 모두 3명을 파견했다. 도는 지난해 공무원 4명을 파견해 도의회로부터 질책을 받았으나, 1명만 복귀시키고 3명은 그대로 남겨뒀다.
도는 또 이 위원회에 2010년 2억7000만원에 이어 지난해 1억50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했다. 범도민위원회는 이를 사무처 운영비와 ‘오피니언 리더 현장 초청’ 사업비 등으로 쓰고 있다.
하지만 범도민위원회는 지난해 사업비로 1억2100여만원을 쓰는 과정에서 6400여만원어치의 기념품을 구입하며 ‘새만금’이나 ‘전라북도’ 등의 문구 하나 없는 한지양말과 한지넥타이 등을 샀다. 더욱이 지난해 새만금 초청 방문자가 1340명이었는데 기념품은 3552개를 구입했다고 이 의원은 지적했다.
더불어 초청 대상이 중앙부처와 정치권 관계자, 투자자 중심이어야 하는데도 개인 친목회 등 부적절한 사례가 다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의원은 “지난해에도 이 같은 실정을 매섭게 따졌으나 고쳐진 것이 거의 없다”며 “다른 민간단체와 형평성에 맞지 않고 행정력만 낭비하는 행위를 즉각 시정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전북도는 “새만금사업을 본 궤도에 오르게 하고 특별법을 개정하기 위해서는 민간 차원의 지원이 필요해 공무원과 보조금을 주고 있다”며 “방문자가 1340명이라고 하는 것은 오찬·만찬 대상자만의 숫자이고 기념품을 준 숫자는 3031명에 이른다”고 해명했다.
한편 새만금사업 범도민지원위원회는 국책사업인 새만금사업의 성공을 민간 차원에서 홍보하기 위해 2009년 5월 설립됐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