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29] 文 “여론조사 가능… 담판해서라도 단일화할 것”

입력 2012-11-19 22:14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는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기자협회의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무소속 안철수 후보 측이 단일화 방식으로 여론조사를 원하면 흔쾌히 받아들이겠다”며 “시간에 쫓겨 여론조사 단일화마저 쉽지 않다면 안 후보를 만나 담판을 통해서라도 단일화를 이루겠다”고 밝혔다.

담판에서 양보할 가능성에 대해선 “저는 사실상 (양보가) 불가능하다. 안 후보에게 ‘도와주시면 제가 잘 해내겠다’고 말하겠다”며 강한 대권 의지를 드러냈다. 문 후보는 “저는 개인 후보가 아니라 민주당 후보, 100만 국민선거인단이 선출한 후보”라며 “독단적 양보는 배임죄에 해당하지 않을까 싶다”고도 했다.

문 후보는 “안 후보로 단일화된다면 안 후보의 당선과 국정 성공을 위해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하겠다”면서도 “제가 다른 정부, 다른 대통령 아래서 어떤 직책, 공직을 맡아 하는 것은 노무현 정부가 마지막으로 (더 이상) 그럴 생각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신이 대통령이 된다면 “혁신·융합·IT·미래성장 분야에서 안 후보의 강점을 잘 활용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문·안 후보가 18일 공동 발표한 ‘새정치공동선언’ 중 국회의원 정수 조정 문구를 두고 양측이 서로 다른 해석을 내놔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정수 유지를 주장한 문 후보 측과 감축을 요구한 안 후보 측이 팽팽히 맞서다 ‘비례대표 의석을 확대하고 지역구를 줄이는 과정에서 의원 정수를 조정하겠다’로 정리됐다. ‘조정’이란 표현은 정수를 줄이겠다는 합의를 담은 것으로 읽혔다.

그러나 문 후보 측 진성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회의원 정수 조정 문제는 단일후보의 정책 공약에 따라 추진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 후보가 단일 후보로 되면 문 후보 공약에 따라 현 정원(300명) 내에서 비례대표 확대와 지역구 축소를 추진하고, 안 후보로 단일화될 경우에는 감축을 추진한다는 뜻이란 얘기다. 양측 합의 내용이 추후 단일화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때문에 단일화 룰 협상 일정에 급급해 공동선언을 서둘러 ‘봉합’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