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29] 與 제안 ‘정치쇄신 협의기구’ 급물살… 安, 전격 수용

입력 2012-11-19 22:14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19일 새누리당의 정치쇄신 실천 협의기구 구성 제안을 전격 수용하면서 여야 간 정치쇄신 입법 논의가 급물살을 타게 됐다.

안 후보는 19일 “정치쇄신에 관해 국회에서 여야가, 또는 대선 후보 3자가 합의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고 좋은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고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이 전했다. 안 후보는 또 “지금 당장이라도 3자가 만나 대선을 치르기 전에 국민께 정치쇄신의 실천을 보여드리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민주통합당도 실무 협의에 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재인 후보 측 진성준 대변인은 “형식과 내용에 관계없이 협의에 임할 것”이라며 “투표시간 연장 문제도 제한 없이 토론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정옥임 선대위 대변인은 “안 후보가 수용 입장을 밝힌 것을 환영한다”며 “(문·안 후보가 합의한) 새정치공동선언의 70∼80%가 (새누리당이) 제안한 안과 같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박민식 의원과 정 대변인, 권영진 종합상황실 부실장이 실무 예비회담 대표로 나설 예정이다. 야권이 원한다면 협상단에 안대희 정치쇄신특별위원장도 포함시킬 방침이다.

새누리당이 지난 6일 발표한 정치쇄신안과 문·안 후보가 18일 합의한 새정치공동선언문을 비교하면 공통분모가 적잖다. 여야 모두 헌법에 보장된 국무총리의 국무위원 인사제청권과 해임건의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대통령의 사면권을 제한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와 선거구획정위원회에 민간인을 참여시키고 예결위를 상설화하는 데도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기초의원 정당공천 폐지도 공통 내용이다.

김재중 임성수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