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29] 다시 주목받는 ‘국민연대’… 선거과정 중엔 지지자 결집, 이후 공동정부 등 형태될듯
입력 2012-11-19 22:15
야권 후보 단일화 문제가 급물살을 타면서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합의한 ‘국민연대’에 관심이 쏠린다. 양측의 공동 합의나 선언마다 등장하는 개념이지만 실체는 아직 베일에 싸여 있다.
문 후보는 19일 한국기자협회 초청 토론회에서 “국민연대라는 말을 그분들(안 후보 측)이 썼다”며 “국민연대 방식으로 저는 모든 게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안 후보 측이 정당을 만든다면 그 정당과 민주당이 합당하는 것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다”면서 “현재는 안 후보 진영이 정당(창당)에 부정적이어서 대선 이후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아직 알 수 없다”고 밝혔다. 민주당 중심의 재창당, 안 후보 세력과의 신당 창당, 공동정부, 연합정부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안 후보 측은 선거 과정에서의 화학적 결합을 강조한다. 캠프 관계자는 “신당 창당 등 정계 구도 개편의 문제가 아니라 일단 대선 전까지 양측 지지자를 모두 모아야 한다는 데서 비롯된 말로 보면 된다”고 했다. 감동적 단일화를 통한 ‘이탈자 없는’ 지지자 규합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문 후보 측 진성준 대변인도 YTN라디오에 출연해 “지금은 안 후보 측이 정당을 결성하거나 조직체를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여건”이라며 “대선 전에는 공동선거대책위원회를 구성한다든지 하는 방식으로 양측을 통합하는 모양새로 나타날 수 있으리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결국 국민연대는 선거 과정의 지지자 결집과 이후 문·안 후보의 권력 분점 형태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 권력 분점의 시나리오로는 공동정부, 연합정부, 신당 창당 등이 제시되고 있다.
재야원로인사 모임 ‘희망 2013, 승리 2012 원탁회의’는 “국민연대로 확장하는 문제에 진보정당을 지지했던 유권자 참여를 촉진하는 방안도 포함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임성수 김아진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