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29] 安 “국회의원 정수, DJ 정부 때처럼 줄여야”… 국민일보 단독 인터뷰

입력 2012-11-19 21:05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는 19일 “전날 발표한 ‘새 정치 공동선언’의 국회의원 정원 조정 문제는 당연히 정수(현행 300명)를 줄이는 의미를 담고 있고, 그래야 (국민들과) 고통분담이 된다”며 “과거 국민의정부 당시에도 줄인 전례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2000년 16대 총선 때 국회의원 정수는 15대 299명에서 273명으로 줄었다.

안 후보는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사 대회의실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이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정치쇄신을 담은 ‘새 정치 공동선언’이 합의됐고 새누리당과도 잘 돼서 국회 통과가 된다면 엄청난 변화를 이루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치쇄신을 협의하자는 새누리당 안대희 정치쇄신특별위 위원장의 제안을 받고 쇄신이 실제로 가능하겠다는 걸 오늘 봤다”고 했다.

안 후보는 문 후보와의 단일화 방안과 관련해 “협상팀에 공정성, 객관성, 현실가능성 등 3가지 잣대가 충족되는 방식이어야 한다는 가이드라인을 줬다”며 “창의적 아이디어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단일화 시점으로는 “후보 등록 전까지니까 26일까지 도출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문 후보가 ‘후보를 양보하지 않겠다’고 밝힌 데 대해선 “그 말은 제가 먼저 했다”고 반박했다.

안 후보는 ‘국민연대’ 방안으로 “단일후보가 뽑히면 두 후보가 함께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소개했다. 무소속으로 선거를 치를 수도 있느냐는 질문에는 “단일후보가 된 뒤에 그 부분을 상의해 보겠다”고 여지를 남겼다. 안 후보는 공동정부 구성과 관련해 “문 후보와 대선 이후의 역할 분담은 전혀 얘기하지 않았다”면서도 “단일화 및 대선 과정에서 아마 서로에 대해 능력이라든지 이런 부분들을 잘 알게 되지 않겠느냐”고 했다.

그는 단일화 협상을 중단 시킨 배경으로 “당원들은 경선 뒤 당을 못 떠나지만 저는 국민후보이고 제 지지자들은 다 떠날 수도 있어서 정당의 경쟁처럼 (불공정하게) 해선 안 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제가 손해인 줄 알면서 중단시켰다”고 설명했다.

안 후보는 “제가 정치를 하게 된 초심으로 돌아가 단일화에 임하겠다. (승리할) 자신 있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대통령이 될 경우 핵심 국정지표로 ‘격차해소’를 내걸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소통의 대통령’이 되겠다면서 “당선되면 ‘여·야·정 상설 협의기구’와 각 분야 소통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손병호 김아진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