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이중플레이’ 논란 커져… 상생 외치면서 출점 자제 합의한 날 점포 신청

입력 2012-11-18 19:35

홈플러스가 출점 자제 등 상생 방안을 논의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출점 절차를 서두르는 ‘이중 전략’을 구사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1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출점 자제 계획을 밝힌 지난달 22일 경기도 오산시에 세교점 등록을 신청했다. 지난달 23일에는 서울 남현동 새 점포 등록 신청서를 관악구청에 제출했다. 인근 상인들과 갈등을 빚고 있는 서울 합정점 개점도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지난달 22일은 지식경제부 홍석우 장관 주재로 홈플러스 이승한 회장 등 유통업계 대표들이 모여 대형마트의 자발적 출점 자제, 최소 월 2회 자율휴무, 유통산업발전협의회 발족 등을 발표한 날이다.

협의회는 지난 15일 2015년까지 인구 30만 미만 도시에 신규 대형마트 점포 출점을 제한키로 정했다.

홈플러스의 오산 세교점과 남현동 출점 신청은 형식논리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미 개점 준비가 진행되고 있는 곳은 출점 제한 대상에서 일단 제외키로 했기 때문이다.

오산 세교점의 경우 지하 2층·지상 6층 건물에 매장 면적 1만9000여㎡ 규모로 공사는 80% 정도 진행된 상태다.

그러나 골목상권 보호를 위한 상생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시점에 굳이 신청서를 제출하고 중소상인들의 반발에 아랑곳하지 않는 태도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정부의 압박에 상생 제스처를 보이고 있지만 실제로는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더구나 오산시 인구는 16만여명이기 때문에 출점할 경우 골목 상권에 큰 타격을 입힐 수밖에 없는 지역이다.

홈플러스 측은 개점 등록을 완료한 지난 13일은 인구 30만 미만 출점 자제 타협안이 나오기 전이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이미 2011년 10월에 홈플러스 명의로 건축허가를 받았다”며 “협의회 계획을 발표한 날 점포 개설 등록을 처음 신청한 것이 아니라 이미 9월에 신청서 검토를 요청했고 지난달 22일 제출한 것은 ‘수정안’”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미 합정점 개점 문제로 지역 중소상인들과 마찰을 빚고 있는 터라 홈플러스에 대한 중소상인들의 반감은 커져 있는 상태다.

홈플러스 문제가 불거지면서 협의회의 기능과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계속 커지고 있다. 협의회는 자발적 기구이기 때문에 합의된 사안에 강제성도 없다. 주무부서인 지경부도 “홈플러스가 중소상인들과 합의 없이 점포를 열지 못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답변만 내놓고 있어 갈등이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