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文·安 단일화 전격회동…‘파행 5일’ 25분만에 봉합 “정권교체 힘 합치자”
입력 2012-11-19 00:20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18일 밤 단독회동을 통해 단일화 실무 협상 재개에 합의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문 후보는 단일화 방식과 관련해 안 후보에게 ‘백지수표’를 제시했다.
◇“더 이상 시간 끌 여유는 없다”=두 후보는 오후 8시에 만나 25분 만에 회동 장소인 서울 정동의 음식점 ‘달개비’에서 웃으며 나왔다. 짧기는 했지만 ‘실무 협상팀에서 단일화 방식을 논의한다’는 데 합의해 파행은 막았다는 평가다. 문 후보는 회동 직전 기자들에게 “다시 이렇게 마주앉게 돼서 다행스럽다. 실무 협상도 빨리 하겠다”고 말했고 안 후보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이기고 상식과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수 있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두 후보가 ‘정권교체와 대선승리’를 재확인함으로써 실무 협상은 빠른 속도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지난 5일간 협상이 중단되면서 야권 지지층으로부터 비난이 쏟아졌고 오는 25~26일 대선 후보 등록까지는 불과 일주일 남았다.
회동 전 안 후보는 “실무자에게 맡기지 말고 함께 뜻을 모아 문제를 해결하자”고 밝혔고 문 후보는 “안 후보 결정에 맡기겠다”고 말해 회동에서 단일화 방식에 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었다. 그러나 회동 결과 실무 협상팀이 다시 전진 배치됐다.
이에 문 후보 측 우상호 공보단장은 “우리는 어떤 방식이든 가져오라 했는데 (안 후보 측에서) 안 가져왔다”고 밝혔고 안 후보 측 유민영 공동대변인은 “발표한 내용 외에 다른 브리핑은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담판은 NO, ‘여론조사+@’=안 후보는 회동에 앞서 광주에서 만난 기자들에게 “담판이 가능할지는 의문”이라고 말해 ‘담판을 통한 양보 불가’를 분명히 했다.
논의 상황을 종합할 때 단일화 방식은 ‘여론조사+TV토론 후 평가’로 요약된다. 문 후보 측은 여론조사를 기반으로 TV토론 후 배심원 투표나 현장투표, 공동조사 등을 반영하고 싶어한다.
안 후보는 방식에 대해 공식적인 언급을 극도로 아껴왔다. 그러나 이날 회동에서도 ‘박 후보를 이길 수 있는 경쟁력’을 주장했다는 점에서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는 여론조사를 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안 후보 캠프에서는 전화를 통한 여론조사가 아니라 조사원이 직접 만나는 ‘면접조사(Face-to-Face Interview)’가 거론된다. 조사원이 유권자를 만나 여론조사하면 민주당의 조직 동원이나 새누리당 지지자들의 역선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논리다. 면접조사는 1000명 조사 때 통상 1주일의 시간과 2000만~3000만원의 비용이 든다. 면접조사원을 대폭 늘리면 기간은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전화 내용이 녹음되는 전화조사와 달리 면접조사는 누군가 조사원들을 따라다니면서 조사 내용을 확인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대선 후보를 선택하는 민감한 내용임을 감안할 때 조사 대상이 속내를 말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TV토론 결과를 어떻게 반영할지도 논란거리다. 지난해 10월 박원순·박영선 서울시장 단일화 당시에는 일반시민 2000명을 무작위로 선발해 평가를 맡겼고 비중은 30%였다. 안 후보는 지난달 7일 “(단일화는) 국민 현장 목소리, 전문가 평가, 여론조사 등 다양한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별도 전문가 집단을 구성한 TV토론 평가를 요구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