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소비 320만㎾ 감축·원전 2기 조기 재가동 주력… 정부, 겨울 전력수급 대책
입력 2012-11-16 19:24
정부가 16일 발표한 ‘동절기 전력수급 대책’은 수요가 정점에 이를 것으로 보이는 1∼2월 예비전력 부족 사태를 막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2009년부터 4년간 전력피크는 연말·연초 휴가 시즌이 끝난 1월 둘째 주부터 2월 첫째 주 사이에 발생했다. 주간으로 보면 한 주 업무가 시작되는 월요일과 목요일에 동계 피크 발생 빈도가 높았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10∼12시와 오후 5∼7시에 피크가 발생하는데 최근 3년간 오전 피크는 오후 피크에 비해 100만㎾ 이상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절기 전력수요 피크를 무사히 넘기려면 1월 둘째 주부터 2월 첫째 주 사이에, 특히 월요일과 목요일 오전 10∼12시나 오후 5∼7시 사이 전력수요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정부는 산업체 수요 관리를 통해 전력소비를 최대 320만㎾ 줄이고, 발전소 조기 가동과 추가 전력 공급원을 확보해 이 시기에도 예비력을 정상 수준인 400만㎾ 이상으로 유지할 방침이다. 우선 수요 관리를 위해 정부는 1∼2월 전력수요 피크일과 피크시간대에 3∼5배의 할증요금을 내도록 하는 선택형 피크 요금제를 도입하고, 6000여개 사업장에 대해 전력 사용량을 최대 10%까지 의무 감축하게 하기로 했다. 포스코와 현대자동차는 올해 12월 사용량 대비 10%의 감축률이 적용되며 현대제철 당진공장은 3%, 인천공장은 10%가 각각 부과된다. 삼성전자의 경우 반도체 부문은 3%, 가전은 7%를 줄여야 한다. 또 정부는 내년 1월로 예정된 83만㎾급 오성복합발전소 가동을 연내로 앞당기는 등 전력 공급원 127만㎾를 추가 확보하고, 실내 온도 18∼20도 의무화도 추진한다.
이번 대책은 미검증 부품 교체 작업이 진행 중인 영광 원자력발전소 5·6호기의 연내 가동이 가능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발표됐다. 따라서 영광 5·6호기가 1월에도 가동되지 않거나 제어봉 안내관 균열과 미검증 부품 교체 작업이 진행 중인 영광 원전 3호기의 재가동이 늦어지면 심각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특히 기온이 예상보다 급격히 떨어지거나 추가 원전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전력 대란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김중겸 사장이 이임함에 따라 한국전력공사가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했다. 한전은 새 사장이 취임할 때까지 조인국 국내부문 부사장을 사장 직무대행으로 하는 비상경영체제로 회사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