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차기총리 유력 아베총재 “무제한 양적완화” 촉구

입력 2012-11-17 00:59

차기 일본 총리가 유력시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자민당 총재가 무제한 금융 완화를 통한 무제한 경기 부양을 촉구했다.

16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아베 총재는 전날 ‘재생 일본’ 강연회에서 일본은행의 채권 추가 매입 조치가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기에는 지나치게 제한적이라고 비판하면서 디플레이션 극복을 위해 “모든 정책을 동원할 때”라고 강조했다.

아베의 표적이 된 일본은행은 ‘잃어버린 20년’ 동안 지속된 디플레이션을 타개하기 위해 2014년 4월 시작되는 회계연도까지 1%의 인플레이션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지난달에는 채권 매입 한도에 11조엔을 추가하는 방안까지 내놨다.

아베는 일본은행이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2∼3%로 올려야 한다고 압박했다. 그는 시중 은행들이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에 예치하는 자금의 금리를 현행 0.1%에서 0%나 마이너스로 조정하라고 촉구했다. 은행권에 대출 압력을 높여 시중에 돈이 풀리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아베는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가 주도한 소비세 인상안에 대해서도 일본 경제의 회복을 위해 연기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베 효과는 곧바로 도쿄 외환시장에서 엔화 가치 하락으로 나타났다. 15일 지난 4월 이후 처음으로 달러화 대비 환율이 81엔대에 진입했다. 일본 증시 닛케이평균지수도 아베의 발언 이후 반등세를 보여 16일 9000선을 돌파했다. 하지만 회의론자들은 무제한 완화·부양 조치가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훼손하고 일본 정부의 재정 파국을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16일 노다 총리는 각료회의에서 중의원 해산 결정 조서에 서명했다. 요코미치 다카히로(橫路孝弘) 중의원 의장이 본회의에서 이 조서를 낭독해 중의원이 해산됐다. 선거는 다음 달 16일이다. 앞서 참의원도 본회의를 열고 특별공채법안과 선거제도 개혁법안, 의원 세비 삭감 법안을 통과시켰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