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前 의원들 “후보선택 자유롭게”… 민주당 또 ‘후단협’?

입력 2012-11-16 19:16

민주통합당 전직 의원 67명이 민주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 가운데 지지대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혀 당내에 미묘한 파장이 일고 있다.

정대철 이부영 전 의원 등 ‘정권교체와 민주헌정 확립을 희구하는 전직의원 모임’은 1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당이 지금까지 당 소속 전·현직 국회의원과 지방의회 의원, 중앙 및 지방 당직자들이 안 후보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힐 경우 일종의 해당행위로 간주해왔기 때문에 민주당 당원은 탈당하지 않으면 안 후보를 지지할 수 없었다”며 “이런 내부 방침은 철폐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안 후보에 대한 지지표시를 당에 위해로운 것으로 정해 놓고서 입당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자기모순”이라며 “민주당 당원들이 상대 후보를 지지하지 못하게 묶어놓은 채 한 무대에서 단일화에 나서라고 하는 것도 불공정 경쟁이 아닐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일단 당 지도부는 안 후보와의 단일화 협상 중단 사태 와중에 터져 나온 이들의 집단적 요구에 곤혹스러워 하는 모습이다. 특히 일각에서는 2002년 ‘후단협’(후보단일화추진협의회) 사태의 악몽이 재현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2002년 10월 민주당 노무현 후보의 지지율이 15%대로 주저앉자 당내 반노(反盧·반노무현)·비노(非盧·비노무현) 의원들을 중심으로 정몽준 의원과의 단일화를 염두에 둔 후단협이 출범했다. 집단 탈당 사태가 빚어졌으며 ‘후보 교체론’까지 거론됐다.

이날 성명을 발표한 전직 의원들은 동교동계와 구민주계, 경선 과정에서 비문(非文·비문재인) 캠프에 있었던 인사들이 주축을 이뤘다. 비주류 이종걸 최고위원도 기자회견장에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이 당내 친안(親安·친안철수) 인사들과 같이할 경우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안 후보는 최근 비문 측 민주당 의원 30여명과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장 문 후보 측에서는 이번 회견을 ‘해당행위’ ‘문재인 흔들기’로 보고 대응책을 강구하고 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