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朴, 11월 16일 경제민주화 공약 발표 김종인 “불참”… 완전히 등돌리나
입력 2012-11-16 00:28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가 논란을 빚었던 기존 순환출자 의결권 제한 부분을 제외한 경제민주화 공약을 16일 발표한다. 박 후보에게 공공연히 반발 의사를 보였던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은 ‘공약 발표 현장 불참’이라는 강수로 맞서기로 했다. 김 위원장은 박 후보의 면담 요청조차 거절했다.
박 후보는 15일 경제민주화 후퇴 논란으로 갈등을 빚고 있는 김 위원장을 설득하기 위해 대규모기업집단법(가칭) 중 일부 사안을 살리는 방안으로 절충안을 제시하며 단독 면담을 제안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은 법안에 기존 순환출자 의결권 제한 항목이 빠져 있다는 이유로 만남 자체를 거부했다. 김 위원장은 공약 발표에 불참키로 한 데 이어 조만간 ‘박 후보 경제민주화의 문제점’을 주제로 한 기자간담회 형식의 입장 발표를 준비 중이다.
김 위원장이 박 후보의 완곡한 설득마저 거절하며 단호한 입장을 내세운 배경엔 순환출자 규제가 긴급하다는 문제의식과 함께 자신의 기대를 저버린 박 후보에 대한 반감이 존재한다. 김 위원장은 신규 순환출자만 제한하면 이미 순환출자로 소유구조를 확정한 삼성과 현대차 등 소수의 대기업 기득권만 강화해 경제민주화 원칙에 오히려 역행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박 후보는 소급해서 법을 적용할 수 없다는 법치주의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김 위원장 측근들은 “박 후보가 기정사실화했던 법안 내용을 수정했다”며 ‘뒤통수를 맞았다’는 반응이다. 지난달 9일 박 후보와 김 위원장이 만난 자리에서 기존 순환출자 제한 문제를 이번 정기국회 회기 안에 처리하기로 입장을 조율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박 후보 측근들은 “신규 순환출자만 문제라는 박 후보 입장은 초지일관”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박 후보는 당사에서 일부 기자들과 만나 경제민주화 공약 내용을 묻는 질문에 “언론에 대부분 나왔다”며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최종 발표될 공약은 순환출자 문제와 중요 경제 범죄에 국민참여재판 등의 내용이 제외된 채 발표될 계획이다.
한편 박 후보는 제2연평해전과 천안함 사건 유족을 만나 서해 북방한계선(NLL) 수호 의지를 강조하며 ‘안보 대통령’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박 후보는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이들을 만나 “너무 당연하지만 NLL은 반드시 지켜낸다는 각오를 갖고 있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걸린 안보 문제는 한 치도 소홀함이 없도록 최우선 가치를 두겠다”고 밝혔다. 오후에는 서울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 ‘2012 전국 보육인대회’에 참석해 보육교사 처우 개선을 약속했다. 이어 모교인 성심여고의 ‘성심가족의 날’ 행사와 건국대에서 열린 한국대학생포럼 토크 콘서트에 참석해 젊은층과의 소통에 집중했다.
새누리당은 박 후보의 대선자금 모금을 위해 250억원을 목표로 한 ‘박근혜 펀드’를 출시하기로 했다. 당초 당에서는 선관위가 정한 법정 선거자금(560억원)의 절반에 못 미치는 펀드 액수에 대해 반대가 심했지만 박 후보는 “어떤 후보보다도 빨리 모을 자신이 있다”며 적극 추진했다는 후문이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