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신도시 공사현장을 가다… 공정률 20%, 새 청사 1∼2층 골조공사 한창
입력 2012-11-15 21:40
“녹지율이 30% 넘는 생태축을 살린 물 순환형 수변도시로 건설됩니다.”
15일 오전 경북 안동시 풍천면 경북도청 이전 신도시 현장에서 만난 김동수(49) 신청사 신축공사 감리단장의 얘기다. 그는 청사 지붕에 전통기와를 올리는 새로운 도청 건물은 도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게 될 것이 분명하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신도시 현장은 현재 경북도청이 위치한 대구시 북구 산격동에서 자동차로 1시간20분 걸렸다. 현장에는 벌써 경북도의회 신청사가 3층까지 골조를 올렸고, 도청 신청사와 주민복지동도 1∼2층 골조공사가 한창이었다. 현장 관계자는 현재 공정률이 20%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해발 331m의 검무산을 뒤로 하고 남향으로 터를 잡은 신청사는 지하 2층, 지상 7층 규모로 2014년 6월까지 완공된다. 도청과 유관기관 등이 이전하는 신도시는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 일대 10.96㎢의 부지에 2027년까지 총 사업비 2조7000억원을 투입해 인구 10만명 규모로 3단계에 걸쳐 조성된다.
1단계는 2014년까지 4.75㎢ 부지에 인구 2만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행정타운과 유관기관용지, 주거용지 등이 들어선다. 2단계는 2015∼2020년 도시활성화 단계로 3,32㎢ 부지에 주거용지와 상업시설, 종합병원, 복합환승센터 등이 들어선다. 인구는 7만여 명에 육박하게 된다. 3단계는 신도시를 완성하는 2021∼2027년 2.89㎢ 부지에 주거시설과 산업시설, 특성화대학, 테마파크 등 도시자족시설이 갖춰져 3만여 명이 추가 입주하게 된다.
도청이전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관기관도 동반이전을 준비 중이다. 경북도교육청은 2014년, 경북경찰청은 2015년까지 이전한다는 계획 아래 청사설계 등으로 바쁘다.
하지만 신도시 진입도로 입구 마을에는 ‘철거대상’이라는 붉은 글씨가 빈집 담벼락에 남아 있어 황량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아직 보상에 합의하지 못한 40여 가구 주민들은 “보상금으로는 전세집도 얻을 수 없다”며 마을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
경북도가 전세자금 5000만원을 무이자로 빌려주고 보상비가 1억원 미만인 가구가 농가주택을 구입할 경우 1000만원까지 수리비를 지원하기로 했지만 합의점은 멀기만 하다.
박대희 도청이전추진본부장은 “2014년 6월까지 명품청사를 완공하는 데 한 치 소홀함도 없도록 할 것”이라며 “아직 보상에 합의하지 못한 주민들과도 꾸준히 협의해 빠른 시간 내에 매듭을 짓겠다”고 말했다.
안동=글·사진 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