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자들 10명 중 4명 “담배 판매 완전 금지해야”… 강력한 금연정책 원해

입력 2012-11-15 19:36

우리나라 흡연자 10명 중 4명(39%)은 담배 제품의 판매 금지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흡연자의 62%는 정부가 담배업체들을 고소해 의료비용을 지불케 하는 등 강력한 금연정책을 펴주기를 원했다.

국제금연정책 평가 프로젝트인 ITC(국제담배규제사업) 프로젝트팀의 국내 책임자인 국립암센터 서홍관 국가암관리사업본부장은 국내 흡연자들을 대상으로 금연정책 효과를 평가한 ‘ITC 한국 보고서’를 15일 공개했다. ‘ITC 한국 보고서’는 2005년(1002명)과 2008년(1818명), 2010년(1753명) 3차례 걸쳐 흡연자들을 상대로 연구를 수행한 뒤 작성됐다.

보고서는 흡연자들이 담배를 끊게 하는 가장 강력한 요소가 가격인데, 한국은 2004년 12월 500원을 인상한 이래로 7년간 담뱃값을 인상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계속 떨어지던 흡연율이 2007년(성인 남성 흡연율 45%, 여성 5.3%)을 기점으로 남녀 모두 상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0년 조사에서 우리나라 흡연자는 담배 소비에 소득의 3.1%만을 지출하고 있었다. 전체 흡연자들 중 3분의 1(35%)만이 담배에 지출되는 돈이 부담돼 ‘자주’ 또는 ‘매우 자주’ 금연을 생각한다고 답했다.

금연을 결심한 이유로 ‘담뱃값이 부담돼서’라고 답한 비율이 2005년 38%에서 2010년 27%까지 줄었다. 서 본부장은 “현재의 담배가격은 금연을 유도하는 데 영향력이 현저히 미흡한 것으로 드러나 담뱃값 인상이 시급함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흡연자의 55%가 담뱃갑에 어떤 내용의 광고나 디자인도 들어 있지 않은 ‘디자인 없는 담뱃갑’을 지지했다. 또 86%는 정부가 흡연의 해로움을 줄이기 위해 적극 대처해야 한다고 답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