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安 ‘단일화 룰’ 협상 중단, 결국 담판 위한 수순?
입력 2012-11-15 18:53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 측의 단일화 룰 협상 중단은 결국 ‘담판을 통한 단일화’를 염두에 둔 조치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측이 주장하는 국민참여경선은 룰 협상이 중단되면서 점점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에 몰리고 있다. 안 후보 측은 협상 중단 이유 중 하나로 ‘조직을 동원한 여론조사 왜곡 시도’를 언급해 여론조사 방식도 문제가 있음을 공론화했다.
안 후보 캠프 관계자는 15일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민주당이 지역 기반을 이용해 여론조사 결과를 3∼4% 포인트까지 흔들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직이 없는 안 후보로선 지지율이 문 후보와 엎치락뒤치락하는 상황에서 ‘여론조사 단일화’ 방안을 선뜻 받기 어렵다는 얘기다. 다른 관계자는 “단일화에 대한 관심을 극대화시킨 뒤 두 후보가 직접 만나 결판을 내리는 게 현재로선 가장 이상적인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했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단일화 룰은 대략 세 가지다. 민주당은 ‘국민이 참여하는 경선 방식’을 요구한다. 하지만 대선 후보 등록일인 25∼26일까지 경선을 치르기엔 시간이 부족하다. 적어도 이번 주 중엔 결론이 나야 가능한데 협상이 중단돼 결국 물 건너갔다는 해석이 나온다. 안 후보 측은 애초부터 민주당의 조직력을 우려해 이 방법을 반대해왔다.
두 번째는 여론조사다. 문 후보 측은 여론조사에 다른 방식을 덧붙이는 ‘플러스 알파’를 원했다. 이 역시 안 후보 측은 받아들이지 않을 분위기다. 전날 안 후보 측은 문 후보 측의 ‘안철수 양보론’과 ‘여론조사 대비용 문자메시지 발송’을 협상 중단 이유로 들었다.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 등이 그동안 ‘역선택’ 문제를 지적하며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야권 단일후보 적합도나 경쟁력을 묻는 건 말이 안 된다’는 식의 대응을 해왔던 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지금까지는 여론조사 문항 설계를 놓고 협상 주도권을 잡으려 했다면 이제는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다면 여론조사도 배제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렇게 되면 남은 방식인 ‘담판 단일화’ 뿐이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안 후보의 협상 중단 카드를 담판을 염두에 둔 전략으로 이해하고 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안 후보 측이 주말까지 협상을 재개하지 않고 버틴다면 룰 협상을 건너뛰고 담판으로 가자는 뜻”이라며 “그럴 경우 두 후보가 만나 결론을 짓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