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공항 민영화, 자금 조달 안돼 차질 우려

입력 2012-11-14 19:32

청주국제공항 민영화를 위한 인수자금 조달 계획이 불투명해 민영화 사업에 제대로 진행될지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사업자인 청주공항관리㈜는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는 입장이다.

14일 국토해양부와 청주공항관리㈜에 따르면 청주공항관리㈜는 지난 10월 한국공항공사 국정감사에서 의원들로부터 자본금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해 공항 민영화에 차질이 우려된다는 지적을 받았다.

인근 오송생명과학단지, 세종시 등으로 성장성이 높은 청주공항이 졸속 매각으로 민영화할 경우 공공서비스 질 하락과 항공안전·보안 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국감 이후 지금까지 자본금 조달은 여전히 나아지지 않고 있다. 계획은 올해 연말까지 자본금을 150억원으로 늘리고 내년 1월까지 300억원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내년 2월까지 공항운영증명을 취득하고 한국공항공사와의 계약에 따라 운영권 인수금 잔액 230억원을 마련해야 할 형편이다.

하지만 현재 자본금은 21.3%인 32억원(계약금)에 불과하다. 청주공항관리㈜에 참여한 기업 중 한국에비에이션컨설팅 그룹㈜가 22억4000만원, 외국계 합자회사인 ADC&HAS가 9억6000만원을 냈을 뿐 출자해야 할 흥국생명㈜와 흥국생명보험㈜는 아직 움직이지 않고 있다. 흥국생명은 내년 1월 15일까지 투자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행히 청주공항관리㈜는 지난 13일 국토부로부터 공항운영규정 인가를 받아 민영화에 필요한 공항운영증명을 신청할 자격을 갖췄다. 공항운영증명제도는 정부가 인력·시설·장비 및 운영절차 등의 안전운영체계를 갖춘 공항운영자에게 공항안전을 인증해주는 제도다. 청주공항관리㈜는 국토부에 공항운영증명을 신청하고, 국토부는 현장점검 등 심사를 거쳐 90일 이내에 증명서를 발급하도록 돼 있다.

이에 따라 청주공항관리㈜는 청주공항 운영권 획득을 위한 공항운영증명 취득 절차가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 인수자금 조달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우선은 공항운영증명 취득이라는 것이다.

청주공항관리㈜ 관계자는 “자본금 조달 상황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운영권 획득을 위한 공항운영증명 취득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내년 2월 민영화 출범에 맞춰 공항 운영 개시 전까지 자본금도 차질 없이 확보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