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 대규모 불산 제조공장 건립 싸고 갈등 고조… 환경단체, 11월 21일 백지화 촉구 범시민 궐기대회
입력 2012-11-13 19:21
여수광양항만공사가 전남 광양항 서측배후단지에 추진 중인 대규모 불산 제조공장 건립을 둘러싼 시민·환경단체와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갈등은 경북 구미의 불산 유출사고로 인해 촉발됐다.
전남도는 항만공사가 체결한 계약을 취소시킬 권한이 없다며 수수방관하다가 뒤늦게 공장건립 반대의사를 표명해 비난이 일고 있다.
광양지역 환경단체들은 “오는 20일 항만공사가 위치한 광양항 컨테이너 부두 마린센터 앞에서 불산공장 건립 철회를 위한 대규모 범시민궐기대회를 갖는다”고 13일 밝혔다.
광양만환경포럼 등은 당초 14일 반대집회를 열려다가 전 시민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궐기대회 일정을 1주일 연기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항만공사가 명확한 철회입장을 발표할 때까지 독성 화학물질 생산공장 저지를 위한 반대집회를 개최할 것”이라며 “광양시와 지방의회, 국회의원, 지역주민 등이 반대하고 있는 만큼 불산공장 건립은 백지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단체들은 “국가 중요시설인 포스코 광양제철, 여수국가산단과 인접한 불산공장 예정부지의 8㎞ 이내에 9만명이 거주하고 있다”며 “시한폭탄을 껴안고 살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2월 세계 기업순위 501위인 영국계 칼루즈그룹 자회사 ‘멕시켐’과 투자유치 양해각서를 체결한 항만공사는 “금명간 공감대가 형성될 것”이라며 불산공장 건립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멕시켐 측은 당초 5월말까지 제출하기로 약속한 구체적 사업계획서를 아직 내놓지 않고 있다. 멕시켐은 2014년까지 3000억원을 투자해 광양항 서측배후단지 13만3000㎡에 연간 13만5000t의 불산을 생산하는 공장을 세워 일본으로 80%를 수출하고 20%를 국내에 공급할 계획이다.
환경단체와 광양시민들은 공장건립에 필수적인 용도변경 허가권을 가진 전남도의 어정쩡한 태도에도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광양항 주무부처는 국토해양부이고 관리주체는 여수광양항만공사지만 도는 해당부지의 용도를 제한할 수 있는 ‘막강한 권한’을 갖고 있다.
그런데도 도는 항만공사가 양해각서를 체결한 이후 별다른 입장 표명이 없다가 구미 불산 유출사고 이후 주민여론이 악화되자 지난달 말 도의회에서 반대입장을 처음 밝혔다. 도는 공장건립 찬반을 묻는 도정질의에 “현재 물류유통 용도로 제한된 서측배후단지 예정부지를 공장용지로 바꾸기 위한 주민공청회에서 반대의견을 개진하겠다”고 답변했었다.
광양=장선욱 김영균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