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수능 특수’ 과욕부렸나… 방통위 보조금 조사 중에도 과열경쟁 벌여 논란

입력 2012-11-13 21:23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지난 8일부터 휴대전화 번호이동 건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면서 이동통신사들이 ‘수능 특수’를 노리고 보조금 과열 경쟁을 벌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이번 과열 양상은 지난 9월 ‘갤럭시S3 17만원 사태’가 발생하며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시장 조사를 진행 중인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논란이 되고 있다.

13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이통 3사의 번호이동 건수는 수능 당일인 8일을 기점으로 일시적인 급증세를 보였다. 8일과 9일의 번호이동 건수는 각각 5만3634건, 4만563건이었다. 6일 2만5883건, 7일 3만9489건과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수치다.

통상적으로 방통위는 일일 번호이동이 2만4000건 이상인 상태가 일정기간 지속되면 ‘시장 과열’로 판단한다.

실제로 수능이 끝나면 휴대전화 판매량은 증가세를 보인다. 하지만 2011년과 2010년 수능일의 번호이동 건수는 올해의 60% 수준인 3만2788건, 3만578건에 그쳤다. 업계에서 말하는 수능 특수를 감안해도 시장이 과열됐다는 것이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분명 ‘수능 특수’가 있는 건 맞다”면서도 “8일 이통사 임원들을 방통위가 소집해 가중처벌 등 강력한 제재를 경고하면서 다시 시장이 안정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이통사 관계자는 “방통위가 현장조사를 마치고 처벌 수위와 방법을 고심하는 것으로 안다”며 “하지만 현재 방통위의 단속·제재 방식이 실효성이 있는지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이통사들이 실적 개선을 위해 과도한 보조금을 주는 ‘히든(숨은) 보조금’, 기습적으로 보조금을 높이는 ‘게릴라 보조금’ 등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조금 경쟁이 당장은 소비자들에게 이익인 것 같지만 결국은 이통사들이 수익 악화를 만회하기 위해 요금제 등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비용을 전가하게 돼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홍해인 기자 hi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