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주택대출 회수 땐 고위험가구 8배로… 서울대금융경제연 심포지엄

입력 2012-11-13 18:57

주택가격이 1990년대 초반 일본 수준으로 떨어지고 금융회사가 만기가 돌아온 대출을 회수하려고 하면 고위험군 주택담보대출 가구가 현재의 8배 수준으로 치솟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영식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장민 금융위원회 자문관, 최성호 코리아크레딧뷰로(KCB)연구소 연구원은 13일 서울대금융경제연구원 정책심포지엄에서 ‘우리나라 가계부채,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는’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김 교수 등은 지난 6월 기준으로 일시상환대출 보유 가구 중 만기가 1년 이내에 도래하는 120만 가구를 대상으로 차환위험을 분석했다. 그 결과 90년대 초반 주택가격이 36.1% 떨어졌던 일본과 같은 시나리오를 가정해 담보인정비율(LTV)이 낙찰가율인 50% 아래로 낮아진 가구의 만기연장이 안 된다고 했을 때 고위험군은 현재의 7.02%에서 60%로 8.5배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상황에서 채권자인 금융회사의 손실률은 은행·보험권이 0.091%에서 0.621%로, 캐피털·신용협동조합·저축은행 등은 0.953%에서 7.773%로 높아졌다.

반면 금융권이 만기연장을 해줄 경우 충격은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상황에서 금융권이 만기연장을 해준다면 주택가격이 36% 떨어져도 연체율은 0.1% 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김 교수 등은 이에 대해 “주택가격이 급락해도 은행의 요구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이 늘지 않으면 고위험군으로 떨어지는 가구는 거의 없을 것”이라며 “금융회사들이 만기상환에 탄력적으로 대응한다면 장기적으로 금융회사 수익과 가계대출 건전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장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