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中企 … 2012년 97곳 구조조정 위기

입력 2012-11-13 18:43


장기 불황에 흔들리는 중소기업이 늘고 있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이 지난해보다 26% 늘었고 그중에서도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아야 하는 기업은 53% 증가했다.

금융감독원은 2012년도 중소기업 신용위험 정기 평가 결과 채권단이 중소기업 97곳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보다 20곳(26.0%) 늘어났다.

채권단은 지난 7월 부실 가능성이 있는 1356곳을 세부 평가 대상으로 골라 3개월간 신용위험을 평가했다. 올해 세부 평가 대상은 지난해보다 227곳(20.1%) 늘었다. 정기 평가가 도입된 2009년 이후 가장 많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등급별로 기업재무구조개선(워크아웃)이 추진되는 C등급 45곳, 자체 정상화를 모색하거나 법정관리를 신청해야 하는 D등급 52곳이다. C등급이 지난해보다 2곳 늘어난 데 비해 부실 가능성이 가장 높은 D등급은 52.9%(18곳)나 늘었다.

금감원 이기연 부원장보는 “채권은행들이 경기 침체기에 위험관리를 강화하려고 적극적인 구조조정 의지를 보였다”고 말했다.

C·D등급 기업은 업종별로 제조업이 44곳으로 가장 많았고 부동산업과 건설업이 각각 13곳씩이다. 이어 도·소매업 11곳, 음식·숙박업 등 기타 업종 10곳, 운송업 6곳 등이다. 특히 부동산·건설업 26곳은 지난해(14곳)보다 12곳(85.7%) 증가했다.

금융회사가 이들 97곳에 빌려준 자금은 1조2735억원이다. 은행이 8720억원으로 가장 많고 저축은행 961억원, 보험사 221억원 등이다.

이번 구조조정 대상 선정으로 은행권 부실채권비율은 9월 말 1.56%에서 1.62%로 상승하게 됐다. 이에 따라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도 13.83%에서 13.80%로 하락한다.

금감원은 B등급으로 평가된 중소기업 중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41곳은 은행들이 ‘패스트 트랙’(신속자금지원) 프로그램으로 지원하게 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멀쩡한 기업이 법정관리를 악용하거나 워크아웃이 중단되지 않도록 채권단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기로 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