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우리 기술로 만든 슈퍼컴퓨터 ‘천둥’ 계산 속도 세계 278위

입력 2012-11-12 16:00


순수 국내 기술로 만든 슈퍼컴퓨터 ‘천둥’이 세계에서 속도가 빠른 500위권 슈퍼컴퓨터 중 당당히 278위에 올랐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이재진(사진) 교수팀이 개발한 천둥이 12일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2012슈퍼컴퓨터학술대회’에서 뽑은 슈퍼컴퓨터 톱(Top) 500에 들었다고 교육과학기술부가 밝혔다.

톱 500에 포함된 국내 슈퍼컴퓨터는 천둥을 비롯해 기상청의 해온(77위)과 해담(78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타키온Ⅱ(89위) 등 총 4대이지만 천둥을 제외하고는 모두 외국에서 들여온 것이다.

슈퍼컴퓨터의 계산 속도를 평가하는 프로그램(린팩 벤치마크)으로 측정한 천둥의 계산 속도는 106.8테라플롭스(TFLOPS·1테라플롭스는 1초당 1조회)에 이른다. 즉, 1초당 106.8조 번의 실수 연산을 수행한다는 의미다.

최근 슈퍼컴퓨터는 대부분 여러 대의 컴퓨터를 빠른 속도의 네트워크로 연결한 클러스터 구조로 만들어진다. 이때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 컴퓨터와 부속 장비를 노드(node)라고 한다.

총 56대의 노드를 연결한 천둥은 각 노드에 4개의 GPU(그래픽 처리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천둥의 노드당 계산 속도는 1.907테라플롭스로, 톱 500에 오른 클러스터 구조의 슈퍼컴퓨터 중 2번째로 빠르고 GPGPU(고성능을 위해 GPU를 그래픽 처리 대신 일반 계산에 사용하는 기술)를 사용한 슈퍼컴퓨터 중에서는 가장 빠르다.

이 교수는 “천둥은 다른 슈퍼컴퓨터에 비해 적은 수의 노드를 사용해도 같은 성능을 낼 수 있어 구축 비용이 절반이 안 되며 차지하는 공간과 전력 소모도 현저히 줄어든다”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