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제역 청정국 인증 목표로 예방에 총력
입력 2012-11-11 19:56
경북도가 올 겨울 구제역 예방에 총력을 기울인다.
경북도는 이번 겨울이 구제역 청정국으로 인정받는 데 매우 중요한 시기로 보고 구제역 예방접종, 소독, 야생조류 차단방역 등 실태점검을 꼼꼼하게 실시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경북도에서는 2010년 11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구제역이 발생해 소와 돼지 등 42만8700여 마리를 살처분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현재는 구제역 발생국가로 분류돼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올 겨울 동안 담당공무원 4742명이 축산 농가를 직접 방문해 구제역 백신접종 상황과 가축방역일지 작성·보관 여부를 꼼꼼하게 점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구제역 백신항체 양성률 60% 이하인 농가에 대해서는 가축방역관이 직접 농장을 점검해 구제역 백신 접종요령 등을 지도할 계획이다.
내년 5월까지인 특별방역대책 기간에 맞춰 축산농장 및 축산 관련 시설을 대상으로 ‘전국 일제소독의 날’ 운영실태를 월 1회 이상 점검하는 등 구제역 예방접종 청정국 인증을 위한 특별방역추진에도 전력을 다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2014년 5월에 열리는 국제수역사무국(OIE) 총회 시 청정국 인증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제역 예방접종 청정국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2년간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는 등의 조건을 갖춰야 한다.
정창진 경북도 축산경영과장은 “지난해 4월 이후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아 올해 겨울이 구제역 청정화를 회복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시기”라면서 “구제역 예방접종, 소독 등에 농가가 적극 동참해 주고 의심 가축이 발견되면 즉시 신고(1588-4060)해 달라”고 부탁했다.
경북도 가축위생시험소는 최근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로부터 전국 최초로 구제역 정밀진단기관으로 지정돼 본격적인 업무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구제역 의심 신고 시 장거리 가검물 수송에 따른 병원체 유출 위험을 방지하고 검사시간 단축으로 구제역 초기 대응능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구제역 정말진단은 경기도 안양에 있는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에서만 이뤄져 불편이 심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