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업계 ‘복합연비 속앓이’

입력 2012-11-11 19:40


현대·기아차의 북미 연비 오류 사태 이후 실주행 연비가 공인 연비에 한참 못 미친다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국내에서 판매하는 모든 차종에 의무 적용되는 복합연비 기준이 소비자들의 자동차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11일 에너지관리공단에 따르면 내년 1월부터 새 연비 기준이 적용되면 복합연비로 변경되지 않은 차종의 연료소비효율은 지금보다 10∼20% 떨어질 전망이다. 현대차 제네시스는 3.3 가솔린 모델 기준 10.7㎞/ℓ에서 9.6㎞/ℓ로 10.3% 감소했으며, 기아차의 경차 모닝(19.0→15.2㎞/ℓ)은 20.0% 줄었다. BMW 7시리즈나 닛산의 신형 알티마, 볼보 S60 등 수입차들도 10∼15%까지 연비가 감소했다. 연비는 연료 1ℓ로 몇 ㎞를 주행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것으로, 기존 공인 연비가 실제보다 과장됐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정부가 도심 연비와 고속도로 연비를 따로 측정한 뒤 복합연비로 환산해 표시하는 방식으로 바꾼 것이다.

정부는 우선 올해 새로 출시된 차에 새 제도를 적용하고 기존부터 양산된 차량에는 준비 기간을 둬 내년 1월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제도 전면 시행까지 두 달이 채 남지 않았음에도 복합연비를 적용한 차종은 그리 많지 않다. 현대차 싼타페, 기아차 K3, 한국지엠 말리부, 르노삼성 SM3, 쌍용차 렉스턴 등 올해 새로 출시되거나 부분변경 모델이다. 기존에 연비를 인증 받은 모델은 대부분 새 연비로 바꾸지 않았다. 수입차 역시 올해 새로 출시한 모델만 복합연비를 받았을 뿐 대부분은 전환을 남겨두고 있다.

급가속, 에어컨 가동 등 실제 주행 환경이 반영된 복합연비는 대부분 기존 연비보다 낮아져 판매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제조사들이 발표 시기를 늦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내년 1월부터 적용될 복합연비 규정에 따른 연비가 기존 공인 연비와 크게 차이가 날 경우 해당 업체의 브랜드 이미지와 평가는 나빠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