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安 ‘반값선거’ 가능한가… 자금·조직력 열세 놓인 安, 현실 무시한 제안?
입력 2012-11-11 22:15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11일 ‘반값 선거비용’ 카드를 빼들었다. 안 후보는 “반값 선거운동을 기피하면서 반값 등록금을 약속하면 거짓말 선거고 낡은 정치 아니겠느냐”며 “두 분(박근혜·문재인 후보)의 대승적 결단을 기다리겠다”고 압박했다.
제안에는 무소속의 약점인 정당·조직·자금 등 3무(無)를 극복하고 유권자들에게 정치쇄신 의지를 한층 강하게 인식시키려는 의도가 담겼다는 분석이다. 여야 정치권은 “좋은 이야기”라며 환영했지만 속내에는 안 후보의 국회의원 수 감축 발언 때처럼 “정치현실을 무시한 발상”이라는 비판이 많다.
안 후보 측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은 기자 브리핑에서 “캠프 내부에서 동의 받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지만 최종적으로 토론을 끝냈다”고 말했다. 그는 법정선거비용(560억원)의 구체적 항목으로 유세차량 현수막 등 각종 홍보물, 전국 327개 연락사무소 관계자 수당과 실비, 신문·방송 광고, 방송연설 등을 언급했다. 인터넷과 페이스북·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발달한 만큼 과거 방식의 시끄럽고 돈 드는 선거를 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
2007년 17대 대선에서 대통합민주신당과 한나라당은 법정선거비용(465억9300만원)의 86.5%, 80.2%인 399억7900만원과 373억9400만원을 썼다고 선관위에 각각 신고했다. 광고 및 TV 관련 비용이 40%, 인건비 24%, 유세 관련 21%였다. 2002년 16대 때는 민주당 266억5100만원, 한나라당이 226억320만원을 신고했다.
민주통합당 문 후보 측은 검토에 착수했지만 실현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 문 후보는 ‘1차 문재인 펀드’를 통해 200억원을 모았고 현재 2차 펀드를 모집 중이다. 후보로 등록하면 국고보조금 150억원을 받을 수 있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도 선거비용 마련에 별 문제가 없다. 반면 무소속인 안 후보는 국고보조금 없이 후원으로만 자금을 모아야 한다.
문 후보 측 김기식 미래캠프 지원단장은 기자들과 만나 “선거비용의 3분의 2가 후보와 정책을 소개하기 위한 공보자료, 신문과 TV 광고에 투입된다”며 “그걸 절반으로 줄이면 후보와 정책 소개를 절반으로 하자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 후보 측은 한 마디로 ‘주제넘다’는 입장이다. 안형환 대변인은 “현재 후보가 되지 못할 가능성이 절반인 안 후보는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없다”고 일축했다. 권영세 종합상황실장도 “최종 후보 확률이 50%라 반값이냐”고 비꼬았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