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포커스] 단일화 룰 ‘2주 전쟁’ 시작… 文·安, 11월 12일부터 협상
입력 2012-11-11 19:20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11일 ‘한 명은 죽고, 다른 한 명은 살아남는’ 야권 후보 단일화 룰 전쟁에 착수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대선을 37일 앞둔 12일부터 협상이 시작됨에 따라 후보등록(11월 25∼26일) 전까지 열흘여 동안 펼쳐질 양측의 서바이벌 경쟁도 한층 더 격해질 전망이다.
두 후보는 이날 낮 12시쯤 전화 통화를 갖고 단일화 룰 협상팀과 경제·복지정책 협상팀, 통일·외교·안보정책 협상팀 등 3개 팀을 가동키로 합의했다. 안 후보가 문 후보에게 먼저 통화를 요청해 합의가 이뤄졌으며 문 후보는 그동안 자신이 요구해 온 룰 협상팀 가동에 환영 의사를 밝히며 제안을 전부 다 수용했다. 통화에 앞서 안 후보는 오전 서울 공평동 캠프 사무실에서 열린 대선공약집 발표 기자회견에서 “문 후보에게 경제개혁과 안보평화를 위한 공동선언 및 단일화 방식 협의에도 착수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룰 협상팀은 양쪽에서 3명씩, 나머지 두 팀은 2명씩 참여한다. 당초 안 후보는 현재 양측이 가동 중인 ‘새 정치 공동선언’을 위한 협상팀에서 정치쇄신의 구체적 결과가 나온 뒤 룰 협상팀을 가동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으나 이번에 이를 병행키로 입장을 갑자기 바꿨다. 자신이 단일화 협상을 주도한다는 인상을 주면서 야권 진영에서 “안 후보가 룰 협상을 계속 미룬다”는 비판이 일고 있는 점을 감안한 조치로 해석된다.
두 후보 간 모두 4개의 협상팀이 가동되면서 공통분모도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양측이 결합하는 형태인 ‘국민연대’를 위한 명분을 최대한 많이 쌓는 동시에 단일화 이후 표 이탈을 최소화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안 후보는 기자회견에서 “새 정치의 첫 걸음은 혈세를 아끼는 것”이라며 “돈 안 드는 선거를 위해 세금으로 충당되는 법정선거비용(560억원)의 절반만으로 선거를 치를 것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당 문 후보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도 ‘반값’ 대선을 공동으로 약속하자”고 제안했다. 안 후보는 ‘안철수의 약속’이라는 제목의 공약집에서 차기 정부의 정치 경제 외교 등 7개 비전과 25개 정책과제, 171개 정책약속 및 850여개 실천과제를 제시했다. 문 후보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종합정책 발표회를 열어 ‘사람이 먼저’라는 슬로건 아래 일자리혁명, 복지국가, 경제민주화, 새로운 정치, 평화와 공존 등 5대 핵심 과제를 실천하기 위한 세부 공약을 내놨다.
손병호 김아진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