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勞心 껴안는 安… 민주노총·한국노총 차례로 들러

입력 2012-11-09 19:01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는 9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을 차례로 방문했다. 전날 기업을 대변하는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회장단을 만난 데 이어 경제민주화에 대한 노사(勞使) 의견을 모두 들었다.

안 후보는 서울 정동 민주노총 사무실을 찾아 “우리 사회에서 여러 격차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차기 정부가 반드시 풀어야 할 중요한 국정과제 중 하나는 비정규직 문제”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21일 발표한 고용·노동정책을 소개한 뒤 “차기 정부에서 노사정위원회는 위상을 좀 높이고 질 좋은 일자리 중심으로 사회적 대타협을 할 수 있는 합의기구를 만들겠다”며 양대 노총의 협조를 요청했다. 안 후보는 전경련 방문을 언급하며 “경제민주화에 (재계가) 반대 의사만 표명하기보다 스스로 혁신안을 내놓으라고 말씀드렸다”고 했다. 이어 여의도 한국노총을 찾아 문진국 위원장과 노동계 현안에 대한 대화를 나눴다.

오후에는 공평동 캠프에서 열린 국방안보포럼 간담회에 참석해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예정대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안 후보는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단호히 사수하고 군의 과학화, 첨단화를 이루겠다”며 “젊은이들에게 군이 비전을 만들어주는 또 다른 기회의 장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포럼에는 조영길 전 국방부 장관, 문정일 전 해군참모총장 등이 참여하고 있다.

안 후보 캠프의 방송·통신포럼은 정부가 정책 비판을 이유로 언론에 소송을 제기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내용의 방송·통신정책을 발표했다. 인터넷에서 표현의 자유를 확대하기 위해 불법 정보와 유해 정보에 대한 인터넷 행정심의를 폐지키로 했다. 또 공영방송의 공공성 강화와 정치적 독립을 위해 공영방송 이사진을 국회 합의로 추천하고 사장은 공정한 ‘사장후보추천위원회’에서 선출케 할 방침이다. 지상파 방송사를 공영과 민영으로 법적 분리하고, 표현의 자유를 위해 언론의 보도·제작 자율성을 보장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가계의 통신비 부담을 줄이는 정책도 포함됐다. 이동통신재판매사업자(MVNO·일명 ‘알뜰폰’)에게 제공하는 도매대가 인하 방안을 모색하고 다양한 단말기 유통이 가능케 해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하기로 했다.

아울러 통신요금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적정성 평가 자료를 공개하고 체감 통신비 지수를 도입하며 무료 음성통화 서비스를 다양화할 방침이다. 공공지역에 무료 와이파이망도 대폭 확대키로 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