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朴 “독도는 협의대상 아니다”
입력 2012-11-08 19:04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가 한·일 외교 갈등으로 비화된 독도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본의 책임 있는 행동을 촉구하는 경고 메시지도 던졌다.
박 후보는 8일 서울외신기자클럽 기자회견에서 “독도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대한민국 고유 영토로 협의 대상이 아니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경색된 한·일 관계의 해법을 묻는 일본 기자 질문에 “한국의 식민화가 1905년 독도 침탈로 시작됐다는 기억을 한국민이 갖고 있다”며 “한·일 양국의 건강한 관계 발전을 위해서는 우방인 일본이 이 점을 직시해주기 바란다”고 답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성노예라고 번역돼 있더라. 어떤 경우든 이 문제가 합리화될 수 없다”면서 “일본과 한국은 민주주의와 인권 같은 소중한 가치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일본의 현명한 지도자들이 이 점을 잘 짚어 달라”고 촉구했다. 특히 “위안부 할머니들이 모두 80대 중반을 넘었다. 역사와의 화해는 한없이 기다릴 수 없다. (지금이) 역사와 화해할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박 후보가 한·일 외교 현안에 단호한 입장을 밝히면서 집권할 경우 대일 외교 기조가 강경해질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캠프 핵심 관계자는 “외신들이 대선 후보 취재에 갈증을 느끼는데 일본이 특히 박 후보에게 민감하다”며 “일본 기자들이 (외교·안보·통일) 공약 발표 때도 일본 언급이 거의 없었는데 왜 그랬느냐고 물어보더라”고 전했다.
박 후보는 집권 후 휴전 조약을 평화 조약으로 바꾸는 방안에 대해 “일련의 검증된 행동을 통해 벽돌 쌓듯 가면 검증이 돼서 신뢰할 수 있고 그러면 교류·협력이 더 커져서 평화 조약을 이야기할 수 있지 지금 단계에선…”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앞서 박 후보는 영어로 읽은 기조연설문에서 통일의 세 가지 원칙으로 ‘국민의 합의와 지지를 토대로 국민과 함께하는 통일’ ‘한반도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통일’ ‘아시아의 협력과 공동발전,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화합의 통일’을 제시했다.
이어 “새로운 한반도를 건설하기 위해 북핵은 결코 용인할 수 없으며 북한의 도발에 대해서는 자위권 범위 내에서 모든 가능한 수단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세계 양강(G2)인 미국, 중국과의 관계 설정에 대해 “한·미 관계를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한층 강화하고 중국과의 관계를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에 걸맞게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