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우 장관, 2012년말까지 블랙아웃 없다지만…
입력 2012-11-07 19:19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7일 “연말까지는 영광 원전 5·6호기가 재가동될 것으로 믿는다”면서 “블랙아웃(대정전 사태)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홍 장관은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미검증 부품을 사용한 영광 원전 5·6호기의 가동 정지로 겨울철 전력난을 우려하는 의원들의 지적에 대해 “전력당국이 한숨의 잠도 자지 않는 한이 있더라도 국민의 불편함이 없도록 하겠다”면서 이같이 답변했다.
그는 전력 수급 대책과 관련해 “꼭 필요한 기업에 대해서만 전력을 제한해서 대부분의 기업과 국민은 부담을 지지 않는 방안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터키에서 15만㎾급 발전선 4기를 임차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현실적으로 실행될 가능성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홍 장관의 장담에도 불구하고 동절기 전력 수급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지경부는 올해 11∼12월 예비전력을 275∼540만㎾ 수준으로 예상했으나 발전용량 200만㎾에 달하는 영광 5·6호기가 최소 연말까지 가동 중지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절전 할당 목표를 강제하는 등 일단 수요를 낮추는 방식을 택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따라 계약전력 1000㎾ 이상인 1만4000개 기업이 피크 시간대에 전력 사용을 전년 대비 10% 이상 감축하도록 했던 지난해와 비슷한 대책이다.
공급 확대 방안은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내년 예정이던 오성복합단지의 80만㎾급 LNG발전기의 가동시점을 연내로 앞당기고, 전국의 비상발전기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지만 필요 인력과 비용이 상당하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한편 품질검증서가 위조된 부품이 원전에 공급된 사태와 관련, 한국수력원자력 김균섭 사장은 이날 국회 지경위 전체회의에서 “이것을 수습하고 언제든지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고리원전 정전 사고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김종신 사장 후임으로 선임됐다.
또 검찰 조사와 별도로 원자력안전위원회도 민·관 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원전 부품들의 적격 여부는 물론 한수원 구매 시스템 전반에 대한 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민·관 합동조사단은 권동일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과 이준식 서울대 교수를 단장으로 민간 전문가 20명, 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가 16명, 원자력안전위 소속 22명 등 58명으로 구성됐다. 조사단은 8일 회의를 시작으로 활동에 들어가 우선 한수원이 앞서 발표한 검증서 위조 품목뿐 아니라 품질검증제도가 적용되는 모든 품목에 대해 한수원 검증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살핀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