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파업 결의… 급식중단 등 차질 우려
입력 2012-11-07 19:15
급식조리원 등 전국 공립 초·중·고교의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파업을 결의함에 따라 일부 학교에서 급식 중단 등 업무 차질이 우려된다.
민주노총 산하 3개 비정규직 노조의 연합체인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7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9일 하루 1차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연대회의는 지난달 23일부터 6일까지 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했고 조합 재적 인원의 과반 이상인 2만2967명(찬성률 91.2%, 재적 대비 67.7%)이 찬성해 파업이 가결됐다.
연대회의는 “교육과학기술부와 교육청은 단체교섭에 나서 ‘호봉제 시행’, ‘교육감 직접고용’, ‘교육공무원직 법안 제정’ 등 우리의 요구에 답하라”며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으면 전 조합원이 참여하는 2차 총파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학교 비정규직에는 회계·전산·행정직을 비롯해 초등 돌봄교사와 특수교육보조원, 사서, 급식조리원 등 다양한 직종이 있다. 전국적으로 공립학교에서만 비정규직이 약 15만명 일하고 있으며 노조원은 3만5000명 정도다. 이 가운데 급식조리원이 2만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에 따라 가장 혼란이 우려되는 분야는 급식이다. 급식실에 적게는 3명에서 많게는 10명 남짓까지 조리원이 근무하는데 이 인원의 절반만 빠져도 정상 급식은 사실상 어렵게 된다. 비록 9일 하루이기는 하지만 급식 중단 가능성이 큰 학교에서는 개인별 도시락 지참이 불가피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학교가 도시락 업체에 점심을 일괄 주문하거나 오전 수업만 하는 것은 노동법 등에 위배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