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의 그늘 짙다보니… “은평뉴타운 미분양 물량 최대 2억 지원”
입력 2012-11-07 21:25
박원순 서울시장 분양활성화 방안 발표
서울시가 은평뉴타운의 미분양 아파트와 용지를 해소하기 위해 취득·등록세와 발코니 확장비용 등을 분양가의 최대 20%까지 지원한다. 미분양 아파트를 1개 동씩 통째로 일괄 매각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7일 오후 은평뉴타운에 차린 임시 시장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은평뉴타운 분양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박 시장은 수요자들의 요구에 1대 1로 맞춰 내부구조를 ‘부모합가형’ ‘부분임대형’ ‘대학생임대형’ ‘취미·여가공간 확충형’ 등으로 바꿔 공급한다는 것이다. 또 미분양 아파트에 기업 게스트하우스나 대학 기숙사를 유치하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서울시가 골칫덩이였던 은평뉴타운 미분양 물량 처리에 본격 시동을 건 것이다. 시는 맞춤형 리모델링 등 각종 분양촉진책을 통해 남은 물량을 소진하겠다는 계획이다.
SH공사는 선납할인, 할부분양, 취득·등록세 보전 등을 통해 분양가의 최대 20%까지 지원키로 했다. 기존 지원율은 134㎡형이 10.5%, 166㎡형은 12%였던 만큼 166㎡형의 경우 기존보다 1억원 많은 최대 2억1000만원을 할인받는 셈이다. 분양을 전제로 전세 임대조건도 완화한다. 그래도 분양이 되지 않으면 4개 동 75가구의 미분양 주택을 1개동씩 통째로 일괄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주택용지는 필지 분할과 공공시설 용지의 용도변경, 편익시설의 허용용도 완화 등의 대책을 통해 분양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도심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하철 3호선 배차간격을 줄이고 신분당선과 6호선을 은평뉴타운까지 연장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또 은평뉴타운을 출발해 서대문, 광화문, 종로를 지나 강남까지 이어지는 471번 시내버스를 늦어도 다음 달부터 구파발역을 경유토록 했다.
2008년 입주를 시작한 은평뉴타운의 전체 분양대상 토지 및 주택 5조5441억원 상당 중 미분양분은 현재 1조6641억원(30%) 규모다. 주택용지(2799억원 상당·195가구) 미분양률이 98.7%로 가장 높고, 아파트는 전용면적 134㎡형(1조2262억원 상당·1657가구)의 11.3%, 166㎡형(7632억원 상당·848가구)의 50.3%가 미분양 상태다.
부동산 업계는 회의적인 반응이다. 부동산114 임병철 과장은 “은평뉴타운의 경우 내부구조 문제가 아니라 중·대형이거나 지하철역과 멀기 때문에 분양이 안 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교통 등 여러 여건이 좋은 다른 지역의 미분양 주택에 대해서도 양도세와 취득세 감면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 가격도 높고 향후 가격 회복 기대감도 적은 은평뉴타운 물량은 쉽게 소진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울 진관동 은평뉴타운 아파트 중·대형 평수가 몰려 있는 3·4단지와 9·10단지 일부 지역은 분양이 덜 된 탓에 썰렁한 상태다. 단지를 벗어나면 매각 안 된 토지들이 군데군데 널려 있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