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단일화 ‘7개항 합의’ 내용은… 문재인 요구로 ‘시기’ 못박아
입력 2012-11-06 22:05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는 6일 첫 회동에서 ‘후보등록 전 단일화’와 ‘새 정치 공동선언 우선 발표’ 등의 합의를 도출했다. 단일화 방식 같은 정치공학적 접근을 배제한 채 가치와 철학의 공감대 형성에 주력했다. 단일화 시기는 문 후보 요구가, 새 정치 공동선언은 안 후보 요구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두 후보는 국민의 정치혁신 요구에 대해 폭넓은 대화를 나누고 인식을 함께했다고 밝혔다. 정권교체를 위해선 새로운 정치가 필요하고 정치권이 기득권을 내려놓아야 정치혁신이 시작된다는 데에도 공감했다. 안 후보가 기성 정치권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고 문 후보가 이에 흔쾌히 수긍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두 후보는 새누리당 집권을 막기 위한 ‘단일화 3원칙’에 합의했다. ‘기득권 세력을 이길 수 있는 단일화’ ‘가치와 철학을 함께하는 단일화’ ‘미래를 바꾸는 단일화’로 안 후보가 5일 전남대 강연에서 제시했던 것이다.
큰 틀에서 단일화 방향이 설정되자 이후 논의는 막힘없이 진행됐다고 한다. 두 사람은 단일화 추진에 있어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국민 공감과 동의를 얻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단일화 방식을 둘러싸고 신경전을 벌이는 것으로 비칠 경우 연대가 아닌 야합이라는 비난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안 후보 측 유민영 대변인은 “단일화 방식과 관련된 논의는 전혀 없었다”며 “별개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후보 등록일(25∼26일) 전 단일화에 합의한 것은 가장 눈에 띄는 성과다. 문 후보 측 진성준 대변인은 “안 후보와 단일화 합의만 이뤄내도 다행이라고 생각했는데 한 발 나아가 후보 등록 전 단일화에 합의했다. 최상의 결과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두 후보는 새 정치와 정권교체에 동의하는 양쪽의 지지자들을 모아내는 국민연대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이를 위해 정치혁신 방안이 포함된 ‘새 정치 공동선언’을 서두르기로 했다. 양측은 이르면 7일부터 공동선언 작성을 위한 실무협상팀을 가동할 계획이다. 유 대변인은 “두 후보가 조만간 다시 만나 공동선언문을 발표할 수 있다”고 했다.
아울러 양측은 투표시간 연장 공동 캠페인도 같이 벌여나가기로 했다. 새 정치 공동선언을 통해 새누리당을 ‘낡은 정치세력’이라는 프레임에 가두고 투표시간 연장 캠페인을 통해서도 새누리당과 차별화해 대선을 유리한 방향으로 끌고 가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문 후보 캠프 관계자는 “두 후보가 각자가 생각하는 바를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했고 ‘정치가 변하는 정권교체’에 상당한 의견 일치를 봤다”며 “단일화 방식에 대한 논의도 새 정치 공동선언 실무협상팀을 통해 물꼬가 트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