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文-安 단일화 회동 다음 수순은… 文 “실무 논의” 安 “후보 담판”
입력 2012-11-06 21:45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6일 첫 회동에서 큰 틀에서의 단일화 원칙에 합의한 만큼 두 후보의 2차 회동과 실무협상이 언제, 어떻게 진행될지 벌써부터 주목되고 있다. 일단 실무 협상이 곧바로 시작되리란 관측이 많다. 하지만 각론으로 들어가면 양 캠프의 온도차가 감지된다.
문·안 후보는 이날 회동에서 가치연대를 바탕으로 단일화가 성사돼야 한다는 데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후보는 여기에 더해 구체적인 단일화 방법과 시기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을 안 후보에게 제안했다. 문 후보 대선 캠프는 정치쇄신(정책연합)과 경선 룰 등 ‘투 트랙’ 논의를 염두에 두고 있다. 캠프 관계자는 “두 후보가 가치연대에 방점을 찍을 경우 정치쇄신 협의부터 들어갈 수 있다. 단일화 방법과 시기까지 얘기가 되면 경선 룰 협상도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 후보 캠프는 정치쇄신이나 정책연합 논의는 언제든 착수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문 후보 측이 안경환 새정치위원장, 이정우 경제민주화위원장을 통해 정치쇄신 및 정책연대 논의를 제안했고 안 후보 캠프에도 두 부분에 대한 협상창구가 마련돼 있다는 것이다.
결국 관건은 단일후보를 결정짓는 경선 룰 협상이다. 문 후보 측은 실무협상으로 접점을 마련하자는 입장으로, 민감한 사안인 만큼 비공식 협상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양측의 패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유리한 방안을 도출하겠다는 복안이다. 2002년 대선 때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협상 경험이 있는 신계륜 의원이 투입될 거란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안 후보 캠프는 실무협상에 큰 무게를 두지 않는 분위기다. 단일화 방식이나 룰 협상을 후보 본인에게 맡기려는 기류가 강하다. 캠프 관계자는 “저쪽과 줄다리기하는 실무협상보다 후보끼리 만나 담판으로 정할 수 있는 문제 아니냐”고 했다.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도 “방법적인 논의를 하면 국민의 동의와 지지를 받기 어렵다”고 말했다. 후보 간 담판으로 룰 협상을 진행할 경우 당에 의존하는 문 후보보다 안 후보가 주도권을 가져올 수 있다는 판단이다. 안 후보가 배석자 없는 단독 회동을 제안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문 후보 캠프도 방식을 정하는 주요 국면에서는 후보 간 회동이 더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긴 하다. 캠프 관계자는 “양 캠프가 단일화 방법을 두고 옥신각신하다가 결국에는 후보가 만나 담판을 짓지 않겠느냐. 최종합의까지 많으면 후보끼리 2번 정도 더 만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