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安, 대선이후 창당… ‘무소속 대통령’ 불안감 털어낸다

입력 2012-11-06 19:06

안철수 무소속 대통령 후보가 12월 대선에서 승리해 집권할 경우 신당을 창당하거나 기존 정당 구조의 대대적 개편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구상은 앞으로 진행될 야권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구체화될 전망이다.

안 후보 캠프 핵심 관계자는 6일 기자들과 만나 “선거 전 신당 창당은 절대, 100% 없다”며 “그러나 안 후보가 집권하면 새누리당에서도 ‘또 다시 5년을 박근혜 대통령 만들기 체제로 가야 하나’란 회의론이 일 테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기성 정당의) 재창당을 가능케 하는 흐름이 만들어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무소속 후보’로 대선을 완주하겠지만 ‘무소속 대통령’이 되지는 않을 것이란 뜻이다. 정당 기반이 없는 대통령에 대한 불안감을 불식시키려는 의도로도 풀이된다.

그러나 단일화 과정에서 안 후보가 신당 창당이나 재창당을 제안하기보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쪽에서 자연스럽게 제기되도록 유도할 가능성이 크다. 캠프 관계자는 “민주당이 단일화 테이블에 앉기로 한 이상 앞으로 ‘무소속 대통령 불가론’을 얘기하지는 못할 테고 ‘민주당 입당론’ 역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이길 수 있는 카드가 아님을 충분히 알고 있기 때문에 제시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결국 문 후보가 ‘대선 후 재창당’을 먼저 주장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안 후보가 당선될 경우 단일화 파트너였던 민주당이 대거 참여하고 새누리당 일부가 흡수되는 수순을 밟게 되리라는 것이다.

신당 창당설은 안 후보의 강연 과정에서 불거져 나왔다. 안 후보는 5일 전남대 강연에서 “새 정치를 향한 국민연대의 과정을 밟아야 한다”고 했다. 지난달 17일 세종대 강연에서도 “대통령이 된다면 국회의원 중 저에게 우호적인 분들이 생길 것이라고 본다”며 대선 후 창당 가능성을 우회적으로 내비쳤다.

안 후보 측은 공식적으로 “신당 창당은 논의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은 브리핑에서 ‘국민연대가 신당 창당을 뜻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정권교체, 정치혁신, 새로운 정치를 위한 광범위한 국민연대가 필요하다는 말로 이해해 달라”며 선을 그었다. 유민영 대변인도 “논의한 바 없다”고 했다. 하지만 송호창 공동선대본부장은 SBS 라디오에 나와 “너무 앞서 나가는 이야기”라면서도 “신뢰가 바탕이 된 후에는 자연스럽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지 않겠느냐”고 여지를 남겼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