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2012 美 대선] 초박빙 오하이오 잠정투표 당선자 결정 늦출 ‘몽니’되나
입력 2012-11-06 21:38
‘경합주 중의 경합주’로 꼽히는 오하이오주의 ‘잠정투표(provisional ballot)’가 대선 당선자 결정을 지연시킬 ‘악몽’으로 떠올랐다.
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와 워싱턴포스트 등에 따르면 오하이오주는 올해 새로운 부재자 투표제도를 도입해 700만명의 등록 유권자에게 부재자 투표 신청서를 보냈다.
그러나 5일 현재까지 부재자 투표 신청을 마친 130만명 가운데 35만명이 투표 결과를 주 선거당국에 우편으로 보내지 않았다. 이들 중 일부는 부재자 투표를 포기할 수도 있으나 상당수는 마음을 바꿔 6일 투표장으로 직접 나와 투표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유권자는 투표소에서 잠정투표를 해야 한다. 부재자 투표를 신청한 만큼 일단 부재자 투표를 한 것으로 간주하고 나중에 부재자 투표를 하지 않은 것을 확인한 뒤 직접투표를 인정한다는 것이다. 이중계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문제는 그 뒤부터 불거진다. 오하이오는 주법에 따라 선거 후 열흘이 지난 17일까지 잠정투표함을 열 수 없다.
ABC방송의 오하이오 지역방송인 뉴스채널5는 전례를 볼 때 부재자 투표 신청을 했으나 투표를 하지 않은 35만명 중 25만명가량이 잠정투표를 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 경우 전체 유권자의 4%가 넘는 투표가 잠정투표로 분류돼 투표 뒤 열흘 이상 개표할 수 없게 된다. 오하이오주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밋 롬니 공화당 후보 간 지지율 격차는 2∼2.5% 정도. 이를 감안하면 대선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규모다.
뉴욕타임스는 많은 선거관계자들과 법률전문가들이 “오하이오주에서 양 후보 간 격차가 법정소송으로 갈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기를 간절히 기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