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김윤옥 여사 조사”… 대통령 실장 강한 불쾌감
입력 2012-11-05 19:02
이광범 특별검사팀이 영부인 김윤옥(65) 여사를 조사키로 했다. 참고인 신분이지만 현직 대통령 부인이 수사기관 조사를 받기는 처음이다.
이창훈 특검보는 5일 “김 여사에 대한 조사 방침은 결정된 상태이고, 청와대 측과 조사 시기와 방법을 조율 중”이라며 “늦어도 6일까지 방식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검팀은 김 여사에 대해 서면조사나 청와대 방문조사, 제3의 장소에서 대면 조사하는 방식을 놓고 협의 중이다. 소환조사는 예우 차원에서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 내외가 7∼11일 해외 순방을 가는 만큼 특검팀이 대면 조사를 한다면 시기는 특검 수사 만료(14일)일 전인 12∼13일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특검보는 “대면조사를 전제로 하면 조사 시기가 12일 이후가 될 수 있지만 서면조사라면 꼭 그럴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 대통령에 대해선 “오해의 소지가 있어 지금 할 말이 없다”면서도 “(김 여사 조사에 대해) 최종적으로 조율이 끝나면 밝히겠다”며 조사가능성을 부인하지 않았다.
특검 수사기간을 연장하려면 만료 3일 전인 11일까지 대통령에 사유를 보고하고 승낙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특검과 청와대 간 갈등이 깊어져 연장승인을 받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많다. 특검팀은 이에 따라 이번 주 주요 사법처리 대상자를 압축하고 혐의 적용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일단 민주통합당과 민주노동당이 고발한 7명 중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받은 시형씨와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 김인종 전 청와대 경호처장, 실무 담당자 김태환씨가 주요 대상으로 지목된다. 특검팀은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도 이번 주 조사키로 했다.
청와대는 특검팀의 수사과정에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하금렬 대통령실장은 “김 여사에 대한 조사는 시기·방식을 조율 중인 게 아니라 특검쪽에서 일방적으로 문의해온 것으로 안다”면서 “아무리 (특검이) 그래도 지켜야 할 게 있다. 순방을 앞두고 김 여사가 마치 의혹 당사자인 것처럼 발표하는 것은 예의가 아니다”고 말했다. 하 실장은 “중간중간 수사과정을 기자들이나 언론에 노출하는 것은 법으로 금지된 사항”이라고 덧붙였다. 김 여사 조사에 대해선 “지난번 검찰조사에서 기초자료가 다 돼 있어 조사한다고 해도 그렇게 시간이 많이 걸리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