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단일화 급물살에도… ‘李-朴 퇴진론’ 여전히 시끌
입력 2012-11-05 22:06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5일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야권 후보 단일화 협상을 진행하겠다고 밝혔지만 ‘단일화의 걸림돌’로 지목돼 온 민주당 이해찬 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의 퇴진론은 계속 확산되고 있다. 단일화 협상 과정에서 안 후보와 정치쇄신 문제를 논의해야 하는 문 후보가 앞으로 어떤 결단을 내릴지 주목된다.
이종걸 최고위원과 안민석 의원 등 당내 비주류 의원들은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문 후보를 만나 이 대표와 박 원내대표의 퇴진을 비롯한 당 쇄신안을 제안했다.
안 의원은 면담 후 기자 브리핑에서 “결론은 없었지만 퇴진 문제를 비롯한 모든 것은 문 후보의 결단에 맡기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문 후보가 경청했고 쇄신의 행동을 결단력 있게 보여주실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 문 후보는 “잘 새기고 판단하겠다. 좀더 의견을 수렴하겠다”며 “내가 여기서 뭐라고 할 수 있겠느냐”라고 말을 아꼈다고 복수의 참석자들이 전했다.
문 후보 측 박영선 공동선대위원장도 CBS 라디오에 출연해 ‘이-박’(이해찬-박지원) 퇴진론에 대해 “민주당을 사랑하고 정권교체를 진정으로 바라고 계신 분들이라 언젠가 결단을 하리라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퇴진 요구가 불순하다는 당권파의 반발도 만만찮다. 강기정 최고위원은 YTN 라디오에 나와 “이 대표에게 4·11 총선 패배의 책임을 묻는데 그 책임은 총선 후 한명숙 당시 대표가 사퇴해 책임을 졌다”고 반박했다. 이어 “퇴진이 실익도 없고 일찌감치 지도부가 문 후보에게 모든 권한을 내놓고 2선 후퇴를 한 상태”라며 “퇴진 요구에 어떤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 아닌가 본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도 퇴진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생각이 여전히 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문 후보는 6일 새로운정치위원회에 참석해 정치개혁과 검찰 등 권력기관 개혁 방안을 밝힐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문 후보가 안 후보와의 회동에 앞서 열리는 새정치위에서 ‘이·박 퇴진’ 결단을 내리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나온다.
한편 문 후보는 지난달 21일 사퇴한 친노 직계 정태호 전략기획실장 후임으로 윤호중 사무총장을 임명, 겸직토록 했다. 하지만 윤 총장이 친이해찬계로 분류된다는 점에서 또 다른 논란이 일고 있다.
손병호 임성수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