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원전 5·6호기 가동 중단] 예비 전력 100만㎾이하땐 ‘순환정전’… 공장 가동 중단될수도
입력 2012-11-05 22:04
품질검증서를 위조한 부품이 대량 공급된 영광원전 5·6호기 가동이 정지됨에 따라 전력난이 우려된다.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5일 “원전 2기 정지로 사상 유례없는 전력난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초고강도 전력수급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11월 중순쯤 대책을 조기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내년 1∼2월 전력 예비력이 230만㎾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이날 가동이 중단된 영광 5·6호기가 연말 안에 재가동된다는 것을 가정한 수치다. 만약 영광원전이 연말 안에 재가동되지 못하면 내년 1∼2월 전력 예비력은 30만㎾대로 곤두박질친다.
예비력이 100만㎾ 이하로 떨어지면 지난해 9월 15일 발생한 전국적 순환정전을 실시하게 된다. 지난해 9·15 정전대란 때 예비전력이 24만㎾였다는 점에서 또 한 차례 전력대란이 예고된 셈이다.
정부는 이 같은 사태를 막기 위해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따른 전력 사용량 강제감축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전기를 많이 쓰는 사업자에 대해 강제로 사용량을 규제하거나 보조금을 주고 사용을 자제토록 하는 제도다. 따라서 업체들은 최악의 경우 전력 사용량 규제 때문에 공장 가동을 정지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정부는 지난해에도 전력 사용량이 1000㎾ 이상 되는 사업장에 대해 전력 사용량을 2010년 대비 10% 이상 감축하도록 규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포스코 등 제철소나 반도체·LCD를 생산하는 삼성전자·LG디스플레이·SK하이닉스 등이 우선적으로 강제감축 할당량을 부과받을 전망이다.
이와 함께 여름 전력 성수기에 시행했던 보조금을 통한 수요관리에도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력 피크타임에 예비전력이 450만㎾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면 기업에 절전을 요청하고 전력을 아낀 만큼 보조금을 주는 구조다. 하지만 보조금의 경우 막대한 세금이 나가는 만큼 우선적으로 감축량 강제 할당을 시행하고, 그래도 전력 예비율 확보가 어려운 경우 보조금을 지급하겠다는 게 정부 방침이다.
한장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