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2002년 방식으론 安 앞서… 朴 지지층 포함땐 文 유리

입력 2012-11-05 21:24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대통령 후보가 6일 전격 회동키로 하면서 당초 11일 이후에나 시작되리라 예상됐던 단일화 협상이 앞당겨지게 됐다. 늘어난 시간만큼 단일화 방법에는 다양한 가능성이 열렸다. 25일 대선 후보 등록일을 데드라인으로 설정할 경우 시간상으로 여론조사는 물론이고 TV토론과 현장투표도 가능하다.

‘게임의 규칙’인 단일화 방법에 따라 두 후보 유·불리가 명확히 갈린다. 안 후보 측은 지금까지 단일화 방식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금태섭 상황실장은 5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단일화 룰에 대해) 생각 자체를 안 하고 있다. 각자 최선을 다한 다음에 나중에 생각해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캠프 관계자들의 비공식적 발언을 종합하면 ‘100% 여론조사’를 선호하고 있다.

반면 문 후보 측은 ‘여론조사+α’를 원한다. 현장 투표는 정당 조직을 활용할 수 있고 TV토론 후 패널조사를 반영하면 정당후보론과 정치 경험을 앞세운 문 후보가 점수를 더 얻을 수 있다. 문 후보 캠프는 내심 모바일 경선도 단일화 룰에 포함되길 바란다. 하지만 문 후보는 4일 “저에게 유리한 (단일화) 시기와 방법을 고집하지 않겠다”며 모바일 경선을 고집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100% 여론조사도 수용할 수 있다는 의사를 비쳤다.

현재로선 후보 간 담판이 아닌 이상 여론조사가 단일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2002년 노무현·정몽준 후보 단일화는 100% 여론조사로 결정됐다. 공신력 있는 2∼3개 여론조사기관이 조사해 오차범위를 벗어난 격차로 앞선 후보를 단일후보로 선출하는 방식이다.

여론조사는 다자구도에서 문 후보보다 지지율이 높은 안 후보에게 유리하다. 특히 안 후보는 누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이길 수 있는지 묻는 ‘경쟁력 조사’에서 앞서 있다. 10년 전 방식을 적용해 박 후보 지지층을 제외하고 여론조사를 실시할 경우에도 안 후보가 앞선다.

문 후보의 경우 누가 야권 단일후보로 적합한지 묻는 ‘적합도 조사’를 하거나, 박 후보 지지층 및 새누리당 지지층을 포함해 조사해야 유리하다. 이 때문에 양측은 설문조사 문항 설계를 놓고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SBS가 2∼4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2002년 방식의 경쟁력 조사는 안 후보가 앞섰고(49.2%대 43.4%), 적합도 조사는 문 후보가 우세했다(48.6%대 37.6%). 두 후보가 KBS TV토론 무산과 관련해 박 후보 책임론을 주장하고 있는 만큼 후보 단일화 TV토론이 열릴 가능성은 높아졌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