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올 것이 왔다”… 새누리, 단일화 파장 촉각

입력 2012-11-06 00:27

새누리당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단일화 회동을 하기로 합의한 데 대해 “국민 기만적인 밀실 야합”이라고 거세게 비난했다. 야권 후보 단일화는 어느 정도 예견된 것이었다며 애써 의미를 깎아내리면서도 단일화가 현실로 다가오자 향후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정현 공보단장은 5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두 후보는 대선 후보가 아니라 대선 경선 후보일 뿐”이라며 “이 사람들(문 후보와 안 후보)이 대선 후보인 양 하는 것은 사칭”이라고 거칠게 비난했다. 안형환 대변인도 구두 논평을 통해 “정치쇄신을 요구한 안 후보가 정치쇄신의 대상이었던 민주당 후보와 어떤 정치철학이나 이념이 같아 단일화 이야기를 하겠다는 것인지 이해가 안 간다”고 가세했다. 박선규 대변인은 논평에서 “국민들이 기만적 야합을 냉철하고 무겁게 심판해주실 것으로 믿는다”며 단일화 효과를 폄하했다.

새누리당은 야권 후보들의 단일화 논의에 강하게 반발하면서도 ‘올 것이 왔다’며 향후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단일화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모든 이슈를 빨아들일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박근혜 후보가 6일 내놓을 정치쇄신안을 비롯해 앞으로 발표할 공약의 효과가 반감될까 우려하는 분위기도 읽힌다. 박 후보는 이날 대한노인회를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나 “내일 (정치쇄신안을) 발표한다. 개헌이 초점은 아니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개헌보다는 총리를 러닝메이트 형식으로 지명하는 방안 등 권력분산 문제를 놓고 고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후보 주변에선 야권 단일화 대응책의 하나로 총리 러닝메이트제를 건의해왔다.

쇄신안에는 정치권의 부정부패를 뿌리뽑고 기득권을 폐지하는 방안이 대거 포함됐다.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준다는 취지에서 ‘비례대표 상향식 공천제’ 등이 도입될 전망이다. 비례대표 후보의 3분의 1은 당 공천으로, 나머지는 공모를 통해 정원의 3배수를 뽑은 뒤 국민경선으로 경쟁시키는 방식이다. 또 여야 동시경선 법제화,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의 독립화, 국회의원 연금제도 폐지 등이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박 후보는 검찰과 경찰, 국세청, 금융감독원 등 권력기관의 과도한 권한을 축소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방안도 제시할 예정이다.

김현길 유동근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