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文·安 “TV토론 하자” 朴 “단일화 먼저”

입력 2012-11-04 21:40


대선을 앞두고 번번이 무산된 TV 토론의 책임 소재를 놓고 후보 간 공방이 뜨거워지고 있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단일화부터 하고 오라”는 입장인 반면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는 ‘박근혜 책임론’을 거론하며 “TV 토론 좀 하자”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문 후보 측 김현미 소통2본부장은 4일 “KBS에서 타운홀미팅 방식의 토론에 문 후보를 초청해 1일 승낙서를 발송했으나 2일 박 후보가 불참한다는 이유로 무기한 연기를 통보해 왔다”며 “이번 대선에선 선거법에 규정된 3차례 토론 외엔 어떤 TV 토론도 못 보게 될지 모른다”고 했다. 김 본부장은 안 후보가 MBC ‘100분 토론’ 출연 제안에 응하지 않은 점을 들며 안 후보의 적극 동참도 촉구했다.

안 후보 측 정연순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KBS가 안 후보에게 세 후보 순차 토론을 제의해 수락했는데 KBS 측에서 일정을 취소했다. 박 후보가 불응하자 KBS 내부에서 나머지 두 후보의 순차 토론도 취소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박 후보 측은 KBS 토론 제안을 거부한 게 아니라 방송국 자체 사정으로 연기됐다고 주장했다. 이정현 공보단장은 “우리는 기본적으로 (토론을) 하겠다는 입장”이라며 “두 야권 후보가 단일화를 하려 하니 두 후보 먼저 하고 우리가 하면 되지 않겠냐는 의견을 내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KBS는 13~15일 세 후보를 각각 따로 초청하는 생방송 ‘대선후보 KBS 초청토론-질문있습니다!’를 추진했으나 무산됐다고 밝혔다. KBS 홍보실은 “새누리당 측에서 여권 후보는 한 명인데 야권 후보는 두 명이 나오는 걸 지적하며 참석하지 않겠다고 밝혀왔다”고 전했다.

대선을 불과 45일 앞두고도 후보자 합동 TV 토론은 물론이고 개별 대담 형식의 TV 토론조차 전무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대선 TV 토론이 공식 도입된 1997년에는 모두 18차례 TV 토론이 열렸다. 개별 대담 형식의 토론회가 25% 안팎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것을 비롯해 합동 토론의 경우 시청률이 50%를 넘을 정도로 국민적 관심을 모았다.

정몽준·노무현 후보 단일화 이슈가 있던 2002년에는 83차례 TV 토론회가 개최됐고 2007년에는 44차례 열렸다. 후보 간 TV 토론은 대선 1년 전부터 개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대선에선 정당별 경선 토론회를 제외하곤 한 차례도 열리지 않고 있다. 박 후보 측은 야권 후보 단일화 전에 토론회를 하면 2대 1 싸움이 된다는 입장이고 안 후보 측은 개별 토론회나 양자 토론보다 세 후보가 함께 참여하는 3자 토론을 선호해왔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