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非盧계, 李·朴 퇴진 연일 압박
입력 2012-11-02 18:35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의 중앙선대위 산하 ‘새로운정치위원회’(새정치위)의 당 지도부 총사퇴 요구로 촉발된 당내 친노(親盧·친노무현)와 비노(非盧)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전날 최고위원직을 사퇴한 김한길 전 최고위원은 2일 이해찬 대표, 박지원 원내대표 퇴진을 압박했다. 그는 YTN라디오에 나와 ‘이 대표와 박 원내대표가 사실상 2선으로 물러난 것 아니냐’는 질문에 “맞지 않는 것 같다. 가령 안철수 후보에 대해 무소속 대통령이 될 수 없다는 공격을 이분들이 앞장서서 했고 이는 (대선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며 “문 후보의 정치쇄신 의지를 보여줄 수 있는 상징적인 일이 현 지도부의 용퇴”라고 강조했다. 안민석 의원도 CBS라디오에 출연해 “사퇴 문제를 빨리 매듭짓고 안 후보와 단일화, 연대를 뛰어넘어 통합의 길로 가야 한다”며 “문 후보가 그 문을 활짝 열어주길 바란다”고 했다. 안 의원, 황주홍 의원 등 비노계 의원들은 지난 31일 밤 김 최고위원을 만나 사퇴를 촉구한 데 이어 이종걸 최고위원에게도 사퇴에 동참해줄 것을 주문했다. 이 최고위원은 조만간 사퇴 쪽으로 입장을 정리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추미애 강기정 우상호 최고위원 등은 현 단계 사퇴에 부정적이다.
“저에게 맡겨 달라”고 말한 문 후보가 어떤 해법을 제시할지도 관심이다. 2선으로 물러나 있는 지도부를 총사퇴시켜봐야 별 효과도 없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지도부 유임을 결정하면 비노계 반발이 거세질 우려가 있다. 새정치위 정해구 간사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문 후보가 소속된 민주당이 쇄신을 안 하면서 문 후보가 정치쇄신을 말하는 것이 국민들에게 어떻게 보이겠느냐”며 “문 후보가 최종 판단을 하겠지만 인적쇄신을 통해 민주당이 먼저 쇄신의 모범을 보이면 좋겠다”고 말했다.
때문에 이 대표와 박 원내대표가 용퇴를 결정하는 게 후보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법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캠프 관계자는 “당 대표 궐위 시 두 달 안에 전당대회를 거쳐 새 지도부를 구성하도록 돼 있지만 당헌 개정을 통해 후보 중심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