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경제가 뜬다-렌털의 진화] 공유도시 만들기… 서울시, 팔걷었다
입력 2012-11-02 17:51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공유’는 시정의 중요한 기치(旗幟)다. 박 시장은 지난달 20일 ‘공유도시 서울’ 만들기를 선언했다. 시민들이 각자 가진 물건·능력·공간·정보를 나눠 쓰는 공유경제를 통해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같은 날 시는 ‘공유촉진 조례안’을 입법예고하고 공유경제 실현을 위한 20개 중점 사업을 내놨다.
‘카셰어링(승용차 공동이용)’은 시민들이 차량이 필요할 때 가까운 주택가 보관소에서 수시로 빌려 쓸 수 있는 서비스다. 30분 단위로 예약이 가능해 간단하게 장을 볼 때나 짐을 옮길 때 효율적이다. 시간당 임대료는 6000∼7000원 정도로 렌터카보다 저렴하다. 시는 26일 사업자 모집을 마무리하고 다음달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있다.
주차장도 공유한다. 시내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12만여면 가운데 낮 시간에 비는 공간을 이웃과 함께 사용해 주차난을 조금이라도 해결하는 게 목표다. 시에 따르면 낮 시간에 비는 주차면 30% 중 5%만 공유사업에 참여해도 1800여면이 확보돼 조성비 230억여원이 절약된다. 시는 동네 방문자가 빈 주차면을 검색,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도 구축키로 했다.
외국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개념인 ‘빈 방 공유’도 활성화한다. 집의 빈 방을 외국인 관광객 등에게 내주는 것이다. 시는 부족한 관광객 숙박시설을 확충할 수 있고, 집주인들은 수입을 올릴 수 있다. 몇 집은 이미 ‘밥이 맛있는’ ‘한옥이 예쁜’ 숙소 등으로 소문이 났다.
박 시장이 그린 ‘마을공동체’ 계획안은 여가·휴식 공간을 공유토록 해 삭막한 도시 풍경을 바꾸는 방안을 담았다. 북카페, 예술창작소, 동네도서관, 마을텃밭 등이 서울 곳곳에 생겨나는 중이다. 주민들이 얼굴을 맞대는 시간이 늘어나니 동네 분위기도 좋아졌다는 평이다.
박 시장은 “재정난이 가중되는 가운데 품앗이·두레 등 오래된 우리의 공유문화를 도시 차원에서 되살리면 자원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어 예산 절감은 물론 실종된 공동체 문화를 회복하고 산적한 도시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