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공정’ 내세우던 朴, 연일 성장론 강조
입력 2012-11-01 18:50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가 연일 ‘경제 성장’을 말하고 있다. 박 후보는 1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0차 미래한국리포트 ‘착한성장 사회를 위한 리더십’ 행사에 참석해 “경제 성장이 안 되면 경제민주화도 제대로 될 리가 없다”며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좋은 일자리, 성장 잠재력을 계속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전날 산학연포럼 특강에서 경제민주화와 경제활성화의 투트랙(two-track)을 언급한 데 이어 이날도 양자의 조화를 강조했다. 박 후보는 “일부에서 경제민주화와 성장 정책이 충돌하는 것 아닌지 우려하지만 (둘은) 따로 갈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하게 선순환을 이뤄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
박 후보는 그간 경제민주화를 대선 핵심 공약으로 내세우며 ‘공정한 시장’에 무게를 둬왔지만 지난달 18일 창조경제론을 발표한 뒤 부쩍 성장을 강조하고 있다. 당내에서도 김광두 힘찬경제추진단장이 “10조1000억원대 경기부양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은 “경기부양을 공약으로 내세울 순 없다”며 김 단장의 주장을 일축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박 후보가 연일 성장을 언급하고 나선 것은 글로벌 경제위기로 저성장 우려가 커지는 현실과 무관치 않다. 2007년 경선 당시 제시했던 줄·푸·세(세금 줄이고 규제 풀고 법치 세우자) 정책과 차별화된 모습을 보이기 위해 이번엔 덜 강조했던 성장론을 다시 부각시켜 경제민주화 공약과 균형을 맞추려 한다는 관측도 있다.
박 후보는 월수입 130만원 미만의 비정규직에 대해 국민연금이나 고용보험을 국가가 100% 지원하는 사회안전망 강화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비정규직 60%가 사회안전망 사각지대에 놓여 있고 영세한 자영업자 등은 산재보험이나 고용보험의 보호를 잘 받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약속했다.
서울 삼성동에서 열린 ‘4060 인생설계박람회’에도 참석해 “정년 연장과 임금피크제를 연계해 실질적인 정년 연장이 정착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개헌에 대한 생각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별로 드릴 말씀이 없다”고만 했다.
박 후보는 전국대학언론인 주최 합동 인터뷰에서는 ‘여성 대통령론’을 강조했다. 그는 “한국 사회가 여성 대통령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건 하나의 큰 변화의 시작”이라며 “여성 대통령은 권력싸움, 밀실정치, 부패에서 자유로울 수 있고 무엇보다 민생에 집중하는 여성 리더십으로 어려운 시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