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합동 총회 파행 사태 장기화 조짐… 총회정상화 위한 비대위-총회장·총무간 힘겨루기 팽팽

입력 2012-10-31 18:07


예장 합동 총회(총회장 정준모 목사) 정상화를 위한 전국 노회원들의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오는 15일 대전 새로남교회에서 개최되는 ‘총회정상화를 위한 전국 목사장로 비상기도회’를 기점으로 분수령을 맞을 전망이다. 하지만 총회 파행의 원인을 제공한 총회장과 총무는 여전히 묵묵부답이어서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이 보이고 있다.

총회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31일 “비대위의 활동을 지지하는 노회가 104개, 총무 해임을 결의한 노회가 9개”라고 밝혔다. 예장 합동 전체 노회가 140개인 것을 감안하면 74%가 총회장과 총무 문제에 대해 강경 입장을 내비친 것이다. 실제로 총회장과 총무를 배출한 대구·전라·서북지역 일부 노회를 제외한 대부분 노회가 비대위를 지지하고 있다.

104개 노회의 핵심 요구는 지난 9월 총회에서 총회장이 총대들의 동의 없이 갑자기 파회선언을 했으므로 총회를 다시 속개해 회무를 진행하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 속에는 노래주점 출입설로 후보 자격논란을 일으켰던 정준모 총회장의 사과 해명 또는 불신임, 용역을 동원하고 가스총을 들어 올렸던 황규철 총무 해임이라는 요구가 들어있다.

그러나 당사자인 총회장과 총무는 절차상의 문제가 없었다고 맞서고 있다. 황규철 총무는 “용역동원은 총회 전 실행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결정해 나에게 위임했기 때문에 적법한 절차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황총무는 또 가스총 사건 및 일방적 파회선언과 관련해선 “해외에서 살인 청부업자가 입국했다는 정보에 따라 신변을 보호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설명하던 중 가스총을 내보인 것일 뿐”이라며 “파회도 불법이라 논할만한 근거가 부족하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비대위원장 서창수 목사는 “총회 역사상 속회를 했던 게 4차례 있었기에 문제가 전혀 없으며 적법하다면 속개를 하고 해명하라”면서 “총회장과 총무가 우리의 요구에 응하길 바라지만 응하지 않는다면 법적 조치 등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총회장 및 총무측과 비대위측이 힘겨루기를 벌이면서 불똥은 총회 본부로 튀고 있다. 상당수 상비부장들이 비대위에 동참하고 있기 때문에 정치부 전도부 교육부 헌의부 등 21개 상비부 업무가 사실상 마비된 상태다.

현재로선 이번 사태가 어떻게 진행될지 예측하기 어렵다. 총회장과 총무가 주변의 의견을 듣기보다는 자신의 입장을 관철시키는 스타일인데다 비대위에 대한 입장도 강경하기 때문이다. 비대위 역시 이번 사태를 교단 개혁의 기회로 삼으려 하기 때문에 한 치도 물러설 기미가 없다.

전 총회장들의 중재가 시도되고 있지만 가시적 성과는 보이지 않고 있다. 부산의 한 목회자는 “이 번 사태가 지속될 경우 식물총회가 될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면서 “현재로선 총회장과 총무의 결단만이 이 문제를 풀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비대위는 1일 서울 대치동 총회회관에서 비상기도회를 위한 ‘전국 노회장, 임원 및 총대 기도회’를 갖는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