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종 ‘피의자’ 소환… 靑 압수수색 가능성도

입력 2012-10-31 00:24

내곡동 사저 부지 선정 및 계약을 총괄했던 김인종(67) 전 청와대 경호처장이 다음 달 1일 피의자 신분으로 특검에 소환된다. 이광범 특별검사팀은 다음 주 중 청와대 압수수색도 검토하고 있다. 또 땅값 출처를 확인하기 위해 이명박 대통령의 큰형 이상은(79) 회장이 운영하는 다스 법인 계좌 추적도 고려 중이다. 특검 수사가 청와대 문턱을 넘어 안방까지 접근해가는 모양새다.

◇부지 매입 ‘배임’ 혐의 짙다=특검팀은 30일 부지 매입 실무자인 청와대 직원 김태환(56)씨를 재조사했다. 지난 18일 소환 때는 ‘참고인성 피혐의자’였지만 이번에는 ‘피의자’신분이다. 김씨를 배임 혐의로 기소할 방침을 세운 것으로 풀이된다. 특검팀은 김씨가 이시형(34)씨와 경호처 공동 소유 형태로 사저 부지 3필지를 매입하면서 의도적으로 시형씨 부담액을 국가에 떠넘겼다고 잠정 결론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다음 달 1일 소환 예정된 김 전 처장 역시 ‘피의자’라고 했다. 그는 김씨를 특채해 부지 선정과 계약 등을 전담시키고 이 대통령에게 최종 보고를 올려 재가를 받은 인물이다. 시형씨가 내야 할 부동산 중개수수료 1100만원을 선납하라고 경호처에 지시한 뒤 나중에 되돌려 받았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같은 달 3일에는 ‘MB의 집사’로 불리는 김백준 전 총무기획관 소환 일정도 잡혀 있다.

특검팀은 청와대 압수수색 가능성에 대해 “관련된 사람이 다 청와대 쪽이기 때문에 필요한 자료가 있을 수 있고 어떤 방법을 통해 확보할지는 당연히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특검의 1차 수사 기간이 다음 달 14일까지라는 점을 고려하면 다음 주 중에는 ‘결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스 계좌 열어보나=이 회장 측은 자택 붙박이장에 보관하던 현금을 꺼내 시형씨에게 땅값 6억원을 빌려줬다고 주장한다. 돈의 출처는 2008년 초 ‘도곡동 땅 차명 소유 의혹’ 특검팀 수사 결과에서도 연관성이 드러난다. 당시 발표문을 보면 현금 선호 경향이 강했던 이 회장은 자금관리인을 시켜 2005년 1월 이전에는 매월 3000만원씩, 이후에는 1회 1000만원씩 현금을 인출하고 서초동 영포빌딩 등에서 전달받았다. 2005년 2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이런 식으로 빼낸 돈은 15억원에 달했다. 그 이후에도 ‘정치하는 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이런 방식으로 현금을 쌓아뒀을 가능성이 있다.

특검팀은 시형씨에게 준 6억원의 출처 규명을 위해 이 회장 계좌를 추적 중이다. 특검팀 관계자는 “필요하면 다스 법인 계좌 압수영장도 청구할 것”이라고 했다. 이 회장은 당초 31일로 잡혔던 소환 일을 건강상 이유로 하루 늦춰달라고 요구했다.

◇매도인 의혹도 수사=특검팀은 이날 2004년 12월∼2010년 1월 내곡동 부지 일부(20-30번지·62㎡)를 소유했던 서울연구원 직원 박모(57)씨를 불러 조사했다. 박씨는 이 필지를 원주인인 유모(57)씨에게 ‘증여’한 것으로 등기부 등본에 기록돼 있다. 박씨가 땅을 매입할 때 이 대통령은 서울시장 재임 중이었고, 이 대통령 측근인 백용호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서울연구원장을 맡고 있었다. 이 때문에 야당은 증여 과정이 석연치 않다는 의혹을 제기했었다. 박씨는 특검에 출석해 “유씨와 아는 사이가 아니고 증여도 아니다”고 했다.

전웅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