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답답한 박근혜 캠프, 행추위 등 3각 편대 구체적 성과없어
입력 2012-10-30 21:49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 캠프의 ‘3각 편대’인 국민행복추진위원회·정치쇄신특별위원회·100%대한민국대통합위원회가 구체적인 성과물을 내놓지 못한 채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민행복추진위(행추위)는 김종인 위원장과 김광두 힘찬경제추진단장이 계속 엇박자를 내고 있고 정치쇄신특위는 정치개혁 이슈경쟁에서 야권에 밀리는 형국이다. 대통합위원회 역시 박 후보의 과거사 사과 이후 진정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후속 조치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호남 출신 등을 영입은 하고 있지만 국민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인사는 찾아보기 어렵다.
행추위의 김 위원장과 김 단장은 최근 10조원 규모의 경기부양론과 증세 등 현안에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 혼선을 빚었다. 또 실무 정책개발팀의 문건이 유출돼 이를 뒤늦게 수습하느라 진땀을 흘리기도 했다. 하지만 행추위 관계자는 “박 후보의 승인만 나면 내보낼 수 있는 복지 공약이 다 준비돼 있다”며 “박 후보가 종합해 발표한다고 한 경제민주화 공약도 11월 안에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쇄신특위는 야권 후보들이 단일화의 연결고리로 정치쇄신안을 경쟁적으로 발표하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안대희 정치쇄신특별위원장은 29일 기자간담회를 자청했으나 구체적인 쇄신안 발표 없이 “지난 25일 후보에게 건의했다”고만 했다. 이를 놓고 안 위원장이 쇄신안 발표가 늦어지는 게 자신의 책임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박 후보를 압박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안 위원장은 30일 라디오에 나와 “곧 강력한 정치쇄신 의지를 담은 실천 가능한 안이 발표될 것”이라며 “실천 가능한 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통합위원회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위원회 관계자는 후속조치가 안 나온다는 지적에 “일단은 조직을 정비하는 것이 순서”라고 답했다. 이어 “부마항쟁재단설립 특별법을 이미 마련했고 장준하 선생 의문사 문제도 대응책이 다 있다. 하지만 과거사 이슈를 겨우 잠재운 상황에서 야권에 공세의 빌미를 줄 수 있어 가만히 있을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3개 위원회의 활동이 더딘 것은 박 후보 의중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도 있다.
선대위 핵심 관계자는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각 위원장이 이미 며칠 전 정책안을 제시했지만 박 후보가 발표 승인을 하지 않고 있는 것”이라며 “후보가 직접 ‘숨을 고르며 내부를 다지자’고 했다”고 전했다.
단일화가 블랙홀처럼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고 있는 시점에서 섣불리 정책을 내기보다는 실천이 가능한 최선의 안을 내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는 것이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