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선 전쟁] 짧아지는 단일화 여정… 文 ‘가속페달’-安 ‘속도조절’
입력 2012-10-29 21:23
야권 후보 단일화의 최적 시점으로 여겨지는 11월이 다가오면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 측의 신경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문 후보 측 이인영 공동선대위원장과 안 후보 측 송호창 공동선대본부장은 정치제도개혁 토론회에서 정치 쇄신 방안을 놓고 맞짱 토론도 펼쳤다.
문 후보 측 입장은 적어도 다음 주에는 공식적인 단일화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한다는 것이다. 양측이 아직 실무 차원의 물밑 접촉조차 없기 때문에 조만간 안 후보 측에 단일화 논의 시작을 제안할 가능성이 높다. 박영선 공동선대위원장과 고위전략회의 멤버인 김한길 최고위원은 단일화 시간표까지 제시하며 안 후보 측을 압박했다. 박 위원장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상적인 단일화를 위해서는 이번 주까지 서로 탐색전을 하다가 (다음 주에) 본격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협상 타결의 마지노선을 다음 달 중순으로 못 박기도 했다.
그러나 안 후보 측은 “단일화 자체가 목적이 돼서는 안 된다”며 논의를 유보했다.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은 브리핑에서 “원탁회의 원로들도 단일화만 되면 무조건 이긴다는 생각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면서 “좀 더 고민하고 답을 찾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다만 범야권의 단일화 압박이 강해지고 있어 다음 달 10일 최종 확정하기로 했던 공약집 발표 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반대로 공약집 발표가 다음달 10일 이후로 늦춰진다면 단일화 논의 시점도 그만큼 늦어지게 된다.
안 후보 캠프는 국회의원 정원 축소 주장에 대한 ‘정치 축소’ 비판에는 적극 대응했다. 정치혁신포럼에 참여한 임운택 계명대 교수는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회의원 수를 줄이면 정치가 축소된다는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인터넷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디지털 민주주의를 강화하고 정치 역동성을 살리는 다양한 방안이 도입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
비례대표제포럼 주최로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토론회에는 이 선대위원장, 송 선대본부장, 통합진보당 이정희 후보 측 김선동 의원, 진보정의당 심상정 후보 측 노회찬 대표가 각각 참석했다. 송 선대본부장을 제외한 참석자들은 한 목소리로 국회의원 감축론을 비판했다.
이 선대위원장은 “국회의원 감축은 인구 대표성 문제 때문에 위헌 소지가 생길 수 있다”며 “정확한 확인과 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비례대표제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정치 혁신에 대해 포괄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틀이나 자리가 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송 선대본부장은 “야권의 힘을 모으는 방식이 협의체 구성일 수도 있지만 그것도 조금은 과거의 방식”이라며 거절의사를 분명히 했다. 그러자 이 선대위원장은 “정치쇄신 공론화 장을 만드는 것까지 지나간 방식이라고 얘기하면 (안 후보 측이) 진짜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지 않는 이상 곤란하다”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노 대표는 “시뮬레이션이라도 해본 것이냐. 국회의원 숫자를 줄이면 양당 독과점제가 더 심화될 수 있다”며 “선거제도를 이대로 유지하면서 숫자를 줄이면 제3공화국으로 간다”고 강하게 성토했다. 송 본부장은 “수가 적으냐 많으냐의 문제가 아니라 기득권을 내려놓자는 게 본질”이라며 “시뮬레이션을 해봤더니 줄일 수 있었고, 구청장은 1명이면 되는데 2명인 곳도 있었다”고 반박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